![]() |
애플 아이폰12 /사진제공=애플 |
지난달 27일 애플은 ATT를 도입하면서 모바일 기기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 값인 광고식별자(IDFA)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도록 했다. 그동안 광고업계에서는 앱 이용자 행동 분석 및 맞춤형 광고 제공에 이를 활용해 왔다. 이제 아이폰 사용자는 모든 앱에 대해 자신의 IDFA 공유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모바일 광고 성과 측정 플랫폼 기업 앱스플라이어의 조사 결과, 인앱 이벤트를 한 번이라도 수행한 활성 이용자(액티브 유저)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약 40%가 앱 추적을 허용했다. 국내의 경우 이보다 낮은 37%의 동의율을 보였다.
앱 카테고리별로 살펴보면 세계 활성 이용자 기준으로 사진, 식음료, 라이프스타일 앱의 동의율이 각각 45%를 기록했다. 쇼핑 및 금융 앱은 각 41%, 게임 앱은 40%로 나타났다. 설치만 한 이용자들의 동의율은 36%로 활성 이용자들의 동의율보다 낮았다.
앱스플라이어는 이번 결과에 대해 그동안 마케팅 관련 업계에서 촉각을 곤두세우며 예상했던 것보다는 높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반면 ATT가 전면 시행된 지 2주가 지났지만 ATT를 구현한 앱은 글로벌 기준 약 15%에 그쳤다. 전면 시행 1주차에는 8%였다. 대다수 앱 서비스들이 ATT 구현 전에 시장 반응을 확인하고 모범 사례 등장을 기다리는 상황으로 풀이된다.
앱스플라이어에 따르면 ATT를 구현한 앱이 반드시 ATT 팝업창을 노출시키는 것은 아니다. 앱 사용 경험을 방해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ATT 사용 동의를 묻지 않는 앱도 있다. 앱 설치 초기보다는 앱에 대한 신뢰가 쌓인 이후에 노출할수록 동의율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팝업창의 앱 추적 목적 알림 문구를 편집하거나 ATT 팝업창 전 단계 화면에서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도 방법으로 꼽았다.
앱스플라이어 측은 “아직 ATT 프레임워크 도입 초기지만 이 같은 변화의 시기에 선제적으로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성공적인 마케팅 캠페인을 전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앱스플라이어는 애드테크 분야의 선두 기업으로서 이미 iOS 업데이트 시기에 맞게 맞춤형 솔루션들을 개발 중이었다. 기업들이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