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시가 QR(Quick Response) 코드를 활용한 가로쓰레기통 관리를 확대하겠다고 23일 밝혔다. /사진=뉴스1 |
서울시내에 설치된 가로쓰레기통은 약 5000여대로 각 자치구별 담당 인력이 가로쓰레기통 파손 및 적재 용량 포화 여부 등을 매일 확인·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가로쓰레기통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사항을 직접적으로 반영하기 힘들다는 것이 서울시의 입장이다.
![]() |
서울시는 23일 현재 마포구에 시범운영 중인 가로쓰레기통 QR코드 관리시스템을 내년부터 다른 자치구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QR코드가 부착된 가로쓰레기통의 모습. /사진=서울시 |
서울시는 시민 누구나 QR코드를 활용해 가로쓰레기통에 대한 보수 요청을 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관리시간 외에 발생하는 가로쓰레기통 파손과 가로쓰레기통 주변 무단투기 등에 적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민 누구나 QR코드 접속을 통해, 쓰레기 적재량이 초과한 가로쓰레기통을 비워줄 것과 훼손된 가로쓰레기통 보수 등을 요청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시범운영 중인 마포구 관내 가로쓰레기통 243개는 서울시의 ‘IoT(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스마트 클린도로 관리시스템’과 연계돼 실시간으로 관리되고 있다. 시범 운영은 올해까지 진행된다. 서울시는 운영 결과를 토대로 서울시내 다른 자치구로 가로쓰레기통 관리 시스템을 확대할 예정이다.
임미경 서울시 생활환경과장은 “서울시는 도심 청결 향상을 위해 가로쓰레기통을 더욱 철저히 관리할 것이며 마포구 관내의 QR코드를 통한 가로쓰레기통의 체계적 관리는 그 첫 걸음”이라며 “서울시민들께서 쾌적한 도시 서울을 향유하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