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개 시·도 중 소득격차가 가장 큰 곳은 서울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전국 17개 시·도 중 소득격차가 가장 큰 곳은 서울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종합소득 상위 20%와 하위 20% 사이의 소득격차가 가장 큰 곳은 서울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소득은 이자·사업·연금·근로 등으로 얻은 소득을 말한다. 주로 전문직이나 자영업자 등 개인 사업자의 소득이 해당한다.

1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에 따르면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22년 서울의 상위 20% 평균 종합소득은 1억7001만원으로 집계됐다.


하위 20% 평균은 262만원으로 조사돼 상위 20%와 하위 20%의 소득은 64.9배 차이가 났다.

종합소득의 평균 역시 서울이 가장 높았다. 지역별 상위 0.1%의 종합소득 평균은 서울이 64억8264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가장 적은 곳인 강원(11억8143만원)과 약 5.5배 차이가 났다.

상위 20%의 평균 종합소득도 서울이 가장 많았다.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상위 20% 평균 소득이 가장 적은 강원(8078만원)보다 2.1배 높았다. 이어 ▲대구(1억1971만원) ▲부산(1억1403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종합소득의 평균값도 서울이 4501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는 ▲세종(3483만원) ▲대구(3443만원) ▲부산(3260만원) 순으로 조사됐다. 평균값이 가장 낮은 곳은 ▲강원(2611만원) ▲인천(2627만원) ▲경북(2633만원) 등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