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침체기에 국내 주요 대형 건설업체들의 정비사업 수주 경쟁이 줄어들면서 수주액도 지난해와 비교해 감소했다. 사진은 인천 신축공사 현장/사진=신유진 기자
건설경기 침체기에 국내 주요 대형 건설업체들의 정비사업 수주 경쟁이 줄어들면서 수주액도 지난해와 비교해 감소했다. 사진은 인천 신축공사 현장/사진=신유진 기자

원자잿값 상승에 따른 공사비 급등과 고금리 여파 등으로 건설업계 침체기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국내 대형 건설업체들이 정비사업 수주 경쟁에 소극적인 모습이다. 이에 수주액도 지난해와 비교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상위 10개 대형 건설업체들의 정비사업 수주액은 총 3조9994억원으로 전년 동기(4조5242억원)와 비교해 약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년 전(6조7786억원)과 비교하면 약 40%가량 줄어든 수준이다. 올 1분기 정비사업 수주액이 가장 큰 건설업체는 시공능력평가 7위 포스코이앤씨로 총 2조3321억원을 기록했다. 이어 ▲현대건설(1조4522억원) ▲SK에코플랜트(2151억원)가 뒤를 이었다.

앞서 포스코이앤씨는 지난 1월 부산 재개발 대어 중 하나인 촉진2-1구역(1조3274억원) 시공권을 수주하면서 수주액 순위는 선두로 올라섰다.

현대건설은 지난달 23일 여의도 한양아파트 재건축(7740억원) 시공자로 선정되면서 올 1분기 수주 실적을 채우게 됐다.


반면 시평 1위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3위 대우건설, 4위 현대엔지니어링, 5위 GS건설, 6위 DL이앤씨, 8위 롯데건설, 11위 HDC현대산업개발 등 총 7곳은 수주액이 0원으로 나타났다. 올해 수주 실적을 하나도 채우지 못했다는 의미다.

최근 정비 사업 현장에서는 예전과 같은 격렬한 수주전을 보기 힘든 모습이다. 서울 동작구 노량진1구역 사업은 사업비만 1조원에 달해 업계에서 관심을 모았지만 포스코이앤씨만 단독 입찰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지난달 강남 개포주공5단지 재건축 시공사 선정 입찰에도 대우건설만 참여했으며 송파구 삼환가락아파트 재건축 사업도 DL이앤씨가 단독 입찰로 결국 유찰돼 최근 재입찰공고를 냈다.

이러한 상황에 지난달 포스코이앤씨와 현대건설이 여의도 1호 재건축사업으로 알려진 '여의도 한양' 재건축 사업 시공권을 놓고 치열한 수주 경쟁을 벌인 것에 이례적인 사례라는 평가다.

건설업계에서는 올해 역시 정비사업 수주 상황은 녹록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일각에서는 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불필요한 사업비 지출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지난달 발간한 '주택공급 활성화와 부동산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동산 시장 침체로 일반분양 수입이 감소했고 공사비가 급증하면서 그 결과 지연되거나 사실상 중단되는 사업장이 속출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