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 체포 방해 혐의를 받는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 사건이 경찰로부터 넘겨받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사진은 김 차장이 지난달 24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에 출석하는 모습. /사진=뉴스1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 체포 방해 혐의를 받는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 사건이 경찰로부터 넘겨받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사진은 김 차장이 지난달 24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에 출석하는 모습. /사진=뉴스1

윤석열 대통령 체포 방해 혐의를 받는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 사건이 경찰에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이첩될 것으로 보인다.

18일 뉴스1에 따르면 공수처는 특수공무집행방해, 형법상 직권남용, 대통령경호법상 직권남용 등 혐의를 받는 김 차장과 이 본부장 관련 사건을 경찰로부터 이첩받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공수처와 경찰은 상당 부분 협의를 진행했다.


경찰은 지난 13일 김 차장과 이 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서울서부지검에 신청했지만 아직 청구 여부가 결정되지 않았다. 김 차장에 대한 구속영장 신청은 이번이 세 번째다. 경찰은 지난달 18일과 24일 두 차례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하지만 검찰은 보완 수사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반려했다. 이 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 신청도 지난 24일에 이어 두 번째다.

경찰은 이들에 대한 2차 구속영장 신청서에 '윤석열 대통령의 배후 공범 가능성을 수사해야 한다'는 취지의 내용을 적시했다. 검찰은 영장 내용을 충분히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경찰은 이들의 증거 인멸 가능성을 우려해 공수처에 사건을 이첩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내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비화폰 서버가 보존 기한이 짧아 시간이 지날수록 복구가 어려워 내란 혐의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공수처에 사건을 이첩하는 안을 살핀 것으로 보인다.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은 지난달 3일 윤 대통령의 1차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한 혐의를 받는다. 또 김 차장은 대통령실 비화폰 서버 관리자에게 연락해 통화기록을 삭제하라고 지시한 의혹도 받고 있다. 경찰의 체포 시도에 순순히 길을 열어준 경호처 직원 두 명을 직무에서 배제해 '보복 인사 조치' 논란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