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2025년 봄철 꽃나무 예측지도를 발표했다. 사진은 부산 중구 민주공원을 찾은 시민과 관광객들이 겹벚꽃 사이에서 사진을 찍는 모습. /사진=뉴시스
산림청이 2025년 봄철 꽃나무 예측지도를 발표했다. 사진은 부산 중구 민주공원을 찾은 시민과 관광객들이 겹벚꽃 사이에서 사진을 찍는 모습. /사진=뉴시스

점차 풀리기 시작하는 날씨에 설레는 봄꽃 나들이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24일 뉴스1에 따르면 산림청은 연인·가족 혹은 소중한 인연과 이른 봄나들이를 계획 중인 이들을 위해 '2025년 봄철 꽃나무 예측지도'를 발표했다. 예측 지도에 따르면 올해 개화 시기는 추운 날씨로 인해 지난해보다 다소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겨울(12월~2월) 평균기온은 0.7도로 평년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올겨울 평균기온은 영하 1.8도로 지난해보다 2.5도 낮아졌다.


예측 지도에는 봄을 가장 먼저 알리는 생강나무·진달래·벚나무류의 개화 시기가 담겼다. 올해 꽃나무 개화 시기는 3월 중순 제주도를 시작으로 남부지방을 거쳐 4월 초 무렵 전국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산림청이 2025년 봄철 꽃나무 예측지도를 발표했다. 사진은 산림청이 공개한 '2025년 봄철 꽃나무 개화 예측지도'. /사진=뉴스1(산림청 제공)
산림청이 2025년 봄철 꽃나무 예측지도를 발표했다. 사진은 산림청이 공개한 '2025년 봄철 꽃나무 개화 예측지도'. /사진=뉴스1(산림청 제공)

수종별 만개 시기는 생강나무 3월26일과 진달래 4월4일로 예측됐다. 특히 모두가 기다리는 벚꽃 나무는 3월26일 제주도를 시작으로 4월8일쯤 서울에도 만개할 것으로 추측된다. 벚꽃 나들이를 계획 중이라면 이 시기를 참고하면 된다.

산림청은 국립산림과학원의 산악기상정보를 기반으로 국립수목원을 비롯해 전국 주요 9개 공립수목원과 협력해 식물 계절 현상(개화·발아·단풍·낙엽 시기)을 관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매년 개화·단풍 예측 지도를 발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