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가 급증하며 금융당국이 부실 정리에 나선 가운데 건설업계에 경기 침체로인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뉴시스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가 급증하며 금융당국이 부실 정리에 나선 가운데 건설업계에 경기 침체로인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뉴시스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급등하며서 금융당국이 부실 정리에 나선 가운데 건설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1월 말 'PF 사업장 정보공개 플랫폼'을 구축해 195개 사업장(금융권 익스포저 3조1000억원)을 공개한 데 이어 지난달 말 174개 사업장(익스포저 3조2000억원)을 추가 공개했다. 현재 공개된 사업장은 369개로 6조3000억원 규모다.


금감원은 부실 PF 정리에 속도를 내기 위해 올해 상반기 예금보험공사와 공동으로 저축은행 검사에 착수한다. 지금까지 자산 2조원 이상 대형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예금보험공사와 공동 검사를 해왔지만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급등하며 규모와 관계 없이 검사 대상을 확대했다.

금감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강민국 의원실에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저축은행의 연체 규모는 9조1000억원으로, 3년 전인 2021년 말(2조5000억원)에 비해 264% 급증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대형 건설사들도 자금난을 겪고 있지만 중소 건설사나 시행사의 경우 PF 연체율이 더 심각한 수준"이라며 "대출 연체가 이어질 경우 도산 위험이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서울에서 진행 중인 대규모 재개발 사업들도 PF 대출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세운재정비촉진지구 3-2·3구역의 경우 본PF 대출이 지연되다가 지난해 12월 1조7500억원 규모 대출을 가까스로 승인받아 자금 조달을 완료했다.

해당 사업의 시공사인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오는 3월 말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추가 자금 조달 변수가 없는 것은 아니어서 일정이 지연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금융당국은 부실이 심각한 PF 사업장에 대해 강도 높은 구조조정과 추가 유동성 지원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부동산 침체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PF 부실 문제는 단기간에 해결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금감원이 PF 규제 기준을 강화하면서 은행권과 보험, 저축은행 등도 몸을 사리고 있다"며 "사업성이 있는 우량 사업장들도 토지 매입 단계에서 고금리로 받은 브리지론 상환에 힘든 상황"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