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이 M4 칩셋을 탑재한 2025년형 맥북 에어를 공개했다. 가격 인상 우려와 달리 미국 출시 가격은 전작보다 100달러 낮아졌다. 애플은 아이패드 신제품을 발표한 지 하루 만에 맥북 에어까지 새롭게 선보이며 아이폰 외 제품군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애플은 5일(현지 시각) 최신 'M4 칩셋'을 탑재한 2025년형 맥북 에어를 공식 선보였다. M4 칩은 M1 대비 성능이 2배 향상됐으며 인공지능(AI) 연산을 담당하는 뉴럴 엔진의 처리 속도는 M1보다 3배 빨라졌다.
미국 시장에서 13인치 모델의 시작가는 999달러, 15인치 모델은 1099달러로 전작 대비 100달러 인하됐다. 환율 상승 영향으로 국내 출고가는 13인치 모델이 159만원, 15인치 모델이 189만원으로 책정됐다.
신형 맥북 에어는 ▲1200만 화소 카메라 ▲6K 해상도 외부 모니터 2대 지원 ▲최대 18시간 배터리 수명 등의 기능을 갖췄다. 카메라는 사용자의 얼굴을 자동으로 추적하는 '센터 스테이지' 기능을 지원하며 '데스크 뷰'를 활용하면 책상 위 화면을 공유할 수도 있다.
맥북 에어는 '애플 인텔리전스'(AI) 기능을 지원한다. '이미지 플레이그라운드'(Image Playground)를 활용해 창의적인 그림을 제작할 수 있으며 '글쓰기 도구'를 통해 더욱 생동감 있는 글을 작성할 수 있다. 챗GPT와의 통합을 강화해 시리와 글쓰기 도구를 활용한 다양한 작업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2025년형 맥북 에어는 오는 12일부터 미국을 포함한 28개국에서 공식 판매될 예정이다. 그렉 조스위악 애플 마케팅 담당 수석 부사장은 "M4 칩을 통해 성능을 대폭 향상하고 새로운 컬러 '스카이 블루'를 추가했다"며 "999달러라는 낮은 시작 가격으로 그 어느 때보다 더 큰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업계는 애플의 가격 인하 전략에 주목한다. 맥북 에어는 아이폰을 제외한 애플 제품군 중 가장 인기 있는 모델로 지난 분기 애플의 맥 제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90억 달러를 기록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맥북 에어가 맥 제품군 성장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당초 시장에서는 애플이 신제품 가격을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 등의 영향으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있었고 지난달 뱅크오브아메리카 애널리스트들도 애플을 비롯한 전자기기 제조업체들이 비용 증가분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애플은 생산 기지를 중국에서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 등으로 다변화하며 원가 부담을 낮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