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의 공천개입과 여론조사 조작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김건희 여사와 소환 조사 일정을 조율 중이다.
8일 뉴스1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최근 김 여사 측에 정치 브로커 명씨 관련 의혹 소명을 위해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김 여사 측은 "검찰에서 의사를 타진한 정도"라며 "정식으로 소환 일정을 조율한 바는 없다"고 설명했다.
검찰은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등으로 고발된 피의자 신분으로 김 여사를 소환해 2022년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당시 국민의힘 공천 과정에 영향력 행사 여부 등을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윤 전 대통령 부부는 명씨가 실질적으로 운영한 여론조사업체 미래한국연구소로부터 3억7520만원 상당 불법 여론조사를 총 81차례 무상으로 받은 대가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보궐선거에서 경남 창원 의창 선거구 공천을 받도록 도와줬다는 의혹을 받는다.
명씨 측은 김 여사가 지난해 22대 총선 공천 과정에도 김 전 의원에게 김상민 전 검사가 경남 창원 의창 선거구에 당선될 수 있도록 도울 경우 장관이나 공기업 사장 자리를 알아봐 주겠다는 제의를 했다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은 공천 개입 의혹은 물론 명씨에게 여론조사를 부탁한 적도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김 여사에 대한 소환조사도 불가피하다는 게 법조계 중론이다.
검찰은 지난해 김 여사의 명품 가방 수수 의혹,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의혹과 관련해 김 여사를 제3의 장소에서 비공개 조사를 했다가 특혜 논란이 일기도 했다. 김 여사가 윤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민간인 신분이 된 만큼 기존 출장 조사가 되풀이될 가능성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대통령실 경호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포토 라인에 서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 검사장 출신 변호사는 "수사팀에서 필요해서 소환하겠지만 윤 전 대통령 탄핵 직후에 바로 포토 라인에 세우기엔 검찰이 오해받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문재인 전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 검찰 조사 전례를 들어 김 여사 측에서 소환조사를 거부할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