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가 건설업계의 고질적인 불공정 관행인 '페이퍼컴퍼니'(서류상 회사) 근절을 위해 빅데이터 분석 역량을 총동원한다.
경기도는 빅데이터 분석시스템인 '경기 데이터분석포털'을 통해 우선 조사 대상 업체를 선정한 후 '불공정거래업체' 실태조사를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실태조사는 2019년부터 시행 중인 '경기도 건설업 페이퍼컴퍼니 근절 종합대책'의 핵심 일환으로, 경기도와 산하 공공기관의 공공입찰 실태조사와 병행하여 추진된다.
경기도의 건설업 빅데이터 분석시스템은 건설업체 정보, 행정처분 이력, 나라장터 계약현황 등 공공데이터와 민간데이터를 통합해 머신러닝 기반의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건설사업자의 위반 유형과 빈도, 공사 수주내역(매출변동), 건설공사대장 통보 여부 등을 종합 분석한다. 특히 올해는 행정처분 유형별 관계 법령의 재위반율을 분석해 항목별 가중치를 부여하는 '스코어 모델링'을 통해 재위반율이 높은 업체를 우선 조사대상 업체로 선별했다.
경기도는 오는 6월부터 도내 31개 시군에서 이런 과정을 거쳐 선정한 조사 대상 업체에 대한 현장점검을 일제히 실시할 계획이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해까지 425개 의심 업체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진행해 147개 업체의 위반사항을 적발했다. 이 가운데 36개 업체는 실제 사무실조차 존재하지 않는 전형적인 페이퍼컴퍼니로 확인돼 등록말소와 폐업 절차를 진행했다.
강성습 경기도 건설국장은 "실태조사를 통해 부정당한 건설업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감독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