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주시는 지난 29일 '무장애도시 조성 기본계획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보고회는 오는 2029년까지 시민 누구나 안전하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무장애도시 경주' 실현을 목표로 마련됐다. 보고회에서는 권역별 현황 분석과 장애물 유형별 개선 방안 등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추진 전략을 구체화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경주시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무장애도시 조성의 필요성을 재확인하고 지역 여건에 맞춘 실행계획과 정책 도입 방안을 수립했다.
특히 관광지와 일상생활 공간 전반에 걸쳐 무장애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단계별 실행전략도 함께 제시됐다. △1단계 '보행환경 개선'으로 주요 도로의 보행 시설 개선과 점자블록 설치 △2단계 '편의시설 및 휴게시설 조성'으로 장애인 주차구역 정비와 무장애 휴게 쉼터, 무장애 충전소 설치 △3단계 '스마트 기술 구축'을 통해 횡단보도 시각장애인 안내 시스템, 모바일 앱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접근성 향상을 추진할 방침이다.
송호준 경주시 부시장은 "이번 최종보고회를 통해 무장애도시 조성 기본계획이 더욱 구체화되고 시민들과 공유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행복한 도시, 모두가 불편 없이 살아갈 수 있는 무장애도시 경주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