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은행권이 신규 주택담보대출 판매를 중단하거나 대출모집인을 통한 대출 빗장을 잠그고 있다. 정부의 가계대출 총량 관리 방침에 따라 시중은행이 대출 문턱을 올리는 모습이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이날부터 9월 중 실행 예정인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신규 신청을 받지 않는다. 오는 10월 이후 실행 예정 건에 대한 대출모집인 신규 신청은 가능하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자율적 가계대출 관리의 일환으로 주택시장 안정화와 연중 안정적인 금융공급 유지를 위해 지난 6월26일부터 대출모집인의 신규 취급 한도를 선제적으로 부여했다"며 "기존 접수 건은 정상대로 실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NH농협은행도 9월 실행분까지 한도 소진으로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담대·전세대출 신청을 받지 않는다. IBK기업은행은 주담대에 이어 전세대출에 대한 대출모집인 접수를 중단했다.
우리은행은 규제지역(서울 강남·서초·송파·용산)에만 적용하던 주택 임대·매매사업자에 대한 '담보인정비율(LTV) 30%' 규제를 수도권으로 확대했다. 수도권 주택 구입 목적의 기업대출도 중단했다.
신한은행은 오는 6일부터 10월까지 전국에서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취급을 한시적으로 제한한다. 6·27 가계대출 규제로 수도권에서는 임대인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을 제한했으나 전국적으로 제한을 확대한다. 다만 조건부 취급 대상 중 오는 6일 이전 계약서 작성과 계약금 입금을 완료하거나 직장 이전이나 자녀 교육, 질병 치료 등의 사유로 주거를 이전하는 경우에는 심사 후 예외를 인정하기로 했다.
KB국민은행은 지난 1일부터 'KB 직장인든든 신용대출' 시리즈 3종 판매를 모두 중단했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9월부터 전국에서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 판매를 중단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6·27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침을 밝히고 은행권의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기존 대비 50% 수준으로 감축하도록 했다. 은행권이 자율적인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나서면서 대출 문턱을 올려 대출 창구가 더욱 좁아질 전망이다.
은행 관계자는 "6·27 대책 발표 전 계약을 마친 고객의 대출 신청 건은 3분기 실적에 반영한다"며 "하반기 목표가 절반으로 줄어든 만큼 4분기에 목표 달성 압박이 커지면서 가계대출 절벽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603조9702억원으로 전월 대비 4조5452억원 늘었다. 대출 규제 전 막차 수요가 몰린 지난 6월(5조7634억원)과 비교해 증가세가 한풀 꺾였지만 5월(4조2316억원)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