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과 LIG넥스원이 공군의 전자기 스펙트럼(EMS) 전력 확보를 위한 '전자전기(Block-I) 체계개발 사업' 수주전에 나선다. 사진은 대한항공·LIG넥스원의 전자전 항공기(전자전기) 예상도. /사진=대한항공

대한항공이 LIG넥스원과 손잡고 공군의 전자기 스펙트럼(EMS) 전력 확보를 위한 '전자전기(Block-I) 체계개발 사업' 수주전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제안서는 9월 초에 최종 제출할 예정이다.

21일 대한항공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정부가 1조7775억원을 투입하고 국내 업체가 연구개발(R&D)을 맡는 형태로 추진된다.


대한항공·LIG넥스원 컨소시엄이 해당 사업의 체계종합업체로 최종 선정되면 대한항공이 체계통합 및 기체 개조·제작을 맡고 LIG넥스원이 체계개발 및 전자전 장비 개발·탑재를 담당할 계획이다.

전자전기(Block-I) 체계개발 사업은 항공기에 임무 장비를 탑재해 주변국의 위협 신호를 수집·분석하고 전시에 전자공격(jamming)을 통해 적의 방공망과 무선지휘통신체계를 마비·교란하는 대형 특수임무기를 개발 사업이다.

전자전기는 적 항공기와 지상 레이더 등 전자장비를 무력화시키고 통신체계까지 마비시킬 수 있어 현대 전장에 필수 장비로 꼽힌다.


이번 사업은 외국산 중형 민항기를 개조해 전자기전 임무장비를 탑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공군이 요구하는 고도·속도·작전 지속시간 등을 감안하면 신규 기체 개발보다 기존 플랫폼 개조가 더 빠르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민항기를 개조해 운용하는 경우는 미국 공군의 차세대 전자전기 EA-37B 외엔 전무한 만큼 세계적으로 희소성을 지닌 고난도 사업으로 평가된다.

대한항공과 LIG넥스원은 현재 전자전기 개발이 가능한 국내 유일 기업으로 평가받는다. LIG넥스원은 KF-21 통합전자전 장비, 차세대 함정용 전자전 장비, 잠수함용 전자전 장비, 신형 백두정찰기 전자정보 임무장비 등 다수의 국가 전략무기 전자전 장비 개발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온 국내 대표 방산기업으로 꼽힌다.

이를 통해 전자전 장비 분야에서 명실상부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대한항공도 국내에서 민항기 부품제작과 군용기 성능개량 및 정비, 무인기 개발, 민항기 중정비·개조가 가능한 독보적인 기업인만큼 해당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항공은 이번 사업을 통해 국군의 전자기 스펙트럼전 수행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자주국방 실현과 국방력 강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LIG넥스원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유·무인 특수임무기 사업을 확장, 글로벌 방산 시장 진출과 수출 기회도 적극 모색할 방침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전자전기 사업은 국내 최초이자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도전"이라며 "대한항공이 지난 50여년 동안 축적한 기술력과 인프라로 국군의 첨단 전력 확보에 앞장서고 대한민국 방산의 글로벌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