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캠프 출신'이라는 배경을 업고 공공기관장 자리에 오른 권백신 코레일관광개발 사장이 여당의 '알박기 인사' 퇴진 압박에 직면했다. 권 사장이 과거 핵심 참모로 보좌했던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서울-양평 고속도로 특혜 의혹'의 피의자로 적시되면서 그에게 수사의 불똥이 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서울대 정치학과 출신인 권 사장은 '윤석열 라인'으로 불린다. 2020년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 보좌관으로 일하며 2022년 대선 당시 윤석열 캠프에 참여했다. 2022년 3월부터 5월까지 윤석열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획위원으로 활동하다 2022년 8월 원 전 장관 정책보좌관으로 발탁됐다. 이후 2024년 11월 코레일관광개발 대표이사에 취임했다. 임명 당시 철도 및 관광 분야의 직접적인 경영 경험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낙하산 인사'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은 전임 정부에서 임명된 공공기관장의 임기를 현 대통령 임기와 일치시키는 '공공기관운영법 개정안'을 올해 9월 정기국회에서 처리하겠다고 공언했다. 지난 21일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윤석열 정부가 알박기한 기관장은 스스로 옷을 벗어야 한다"고 직격하며 법안 처리 의지를 분명히 했다.
원희룡 오른팔로 활동 후 공공기관장 임명
![]() |
권 사장은 알박기 청산 압박 외에 원 전 정관과의 연결고리로 인해 사법 리스크에도 노출돼 있다.
이날 김건희 여사의 의혹들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양평고속도로 노선변경 의혹'(양평 의혹)과 관련해 양평군청 등 10여곳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특검팀은 앞서 지난 7월에도 해당 의혹과 관련해 국가교통정보센터를 압수수색했다. 양평 의혹은 2023년 국토부가 서울∼양평고속도로 사업을 추진하며 종점 노선을 김 여사 일가가 토지를 소유한 강상면 일대로 바꾸려 했다는 내용이다.
사업 원안인 양서면 종점 노선은 2021년 예비타당성 조사까지 마쳤음에도 2023년 5월 국토부가 돌연 김 여사 일가 땅이 소재한 강상면으로 종점을 틀면서 특혜 의혹이 불거졌다. 논란이 일자 원희룡 당시 국토부 장관은 그해 7월 사업 백지화를 선언했다.
원 전 장관은 해당 의혹과 관련해 지난 7월 특검에 의해 피의자로 적시돼 현재 출국금지 상태다. 권 사장은 양평 의혹의 시작점인 2022년 8월 원 전 장관의 정책보좌관으로 임명돼 논란이 정점에 이른 시기에도 원 전 장관의 핵심 참모로 활동했다. 정책보좌관은 '제3차관' '문고리 권력'으로 불리며 장관의 의사결정과 정무에 가장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직위다.
그는 임명 당시 "장관의 정책을 보좌하는 막중한 역할을 책임 있게 수행하는 동시에 지역 SOC(사회간접자본)사업 등 현안사업도 관심 있게 살피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가 '관심 있게 살피겠다'고 콕 찍어 말한 SOC사업에는 고속도로 건설이 포함돼 있어 양평 의혹 시기 권 사장의 역할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범죄 혐의는 수사 기관의 영역"이라면서도 "권 사장의 혐의가 확인되면 원 전 장관과 함께 조사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올해 당 차원에서 공공기관 알박기와 낙하산 척결에 나선 만큼 국정감사에서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장들의 업무 적합성, 경영의 적정성, 비위 사실 여부 등을 철저히 물을 것"이라며 고강도 감사를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