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지난 24일 열린 한일 정상회담 중 양국 정상이 과거사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24일 뉴시스에 따르면 위 실장은 이날 일본 도쿄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과거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가 있었다"며 "한일이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지에 대해 기본적 접근에 주안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방일은 셔틀 외교 복원에 주안점을 두고 추진했고 또 방미와 연계에 준비했다"며 "과거 문제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추구한 바는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위 실장은 "협의 과정에서 과거 문제가 충분히 논의됐다"며 "이 대통령은 평소 말하던 것을 충분히 말했다. 과거 문제를 어떻게 해야 현재와 미래 협력에 도움이 될 것인가에 대한 입장을 개진했고 일본 측에서도 진솔한 반응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과거 문제에 대한 입장도 알려졌고 일본 정치인 중에서 건설적인, 전향적 입장을 가진 분"이라고 평가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방일을 통해 선순환 모멘텀을 우선 구축해 과거사 등에 대한 논의가 가능하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데 방점을 뒀다고 강조했다. 위 실장은 '이재명 정부 임기 내에 일본 측의 전향적 입장 변화가 가능하다고 보느냐'는 물음에 "일본의 반응을 어디까지 견인할 수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다"면서도 "그런 기대는 여전히 있다. 이번 정상회담은 한일 관계에 선순환을 가져가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는 "금세 가시적 성과로 이어진다고 장담하긴 쉽지 않다. 일본 내 다양한 지형이 있고 전반적인 사회 분위기 흐름도 있을 것이다"라며 "한국 사회의 정지 지형과 사고방식의 추세 등도 있다. 이를 감안해 (협력 관계) 선순환이 성과를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보탰다.
이재명 대통령은 방미 이전에 방일에 나서는 파격적인 외교행보를 보였다. 일각에선 한미일 협력에 대한 의지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괴사하려는 측면도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위 실장은 "한일 정상은 두 분간 소인수 대화에서 대미 관계, 관세 협상에도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다"며 "일본과 좋은 관계를 발전시키면서 미국과 협의를 하러 간다는 것은 일본은 물론 미국에서도 긍정적인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일본과 미국을 연계 방문함으로써 한일 한미일 협력 강화를 실현했다고 할 수 있다"며 "그간 한일 양국 관계가 좋지 않으면 미국이 주도해 한미일 3국을 협력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엔 우리가 주도해 일본을 방문하고 미국을 이어 방문하는 모양이 나왔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