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SK서린빌딩. /사진=SK리츠 홈페이지 캡처

NH투자증권은 SK리츠에 대해 무위험이자율 하향 조정에 따른 자기자본비율(COE) 하락과 담보인정비율(LTV) 정상화가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목표주가는 기존 6800원에서 7300원으로 상향, 투자의견은 '매수'를 제시했다.

NH투자증권은 29일 리포트를 통해 SK리츠의 전환사채 잔액은 3월 말 기준 871억원이었으나 지난 6월 추가 전환청구를 통해 현재 671억원까지 줄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이 중 440억원의 전환가액은 4706원, 231억원의 전환가액은 5025원으로 전환가능 주식 수는 1395만주다.


이은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는 발행주식 수의 5%에 불과해 희석 우려가 낮고 6개월 뒤면 종료되는 전환 청구 역시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자산재평가 통한 LTV 정상화 역시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세법 시행령 개정 이후 자산재평가이익이 배당 의무에서 제외됐다"면서 "기존 자산재평가이익은 재무제표 반영 시 이익으로 분류되어 배당 의무를 져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고 했다.

SK증권은 지난해 말 SK-C타워 편입 이후 일시적으로 66%까지 상승한 LTV를 정상화하기 위해 자산 감정평가를 진행했고 차입 일부(485억원)를 상환한 바 있다. 이 연구원은 "자산 감정평가를 통해 확인한 보유 자산의 가치는 취득원가 4조4000억원 대비 12% 상승한 수준인 4조9000억원이다"며 "이는 6월 결산 재무제표에 반영될 예정이며 이를 고려했을 때 LTV는 59%로 하락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금융 비용 절감에 따른 이익 체력 증진으로 내년 하반기 이후부터 자본전입 없이 배당 지급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는 것도 긍정적이다. 이 연구원은 "상반기 중 3983억원의 리파이낸싱을 진행해 조달금리는 3.2%(기존 4.1%)로 하락했다"면서 "이는 연간 금융비용 38억원 절감에 해당하며 조달금리 하락을 반영한 2026년 예상 주당배당금은 265원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