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8월29일 경기 용인시 오대양 공예품 공장에서 32명이 사망한 채 발견됐다. 사진은 사이비 교주 박순자 모습. /사진=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 날 이야기' 제공

1987년 8월29일 경기 용인군(현재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오대양 공예품 공장 식당 천장 위 좁은 공간에서 무려 32구의 시신이 발견됐다.

발견된 시신은 속옷이나 잠옷 차림으로 서로 겹겹이 포개져 있었다. 현장을 목격한 사람들조차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을 만큼 끔찍하고 기이한 광경이었다.

자수성가 여성 사업가에서 사이비 교주로… 박순자의 두 얼굴

사건 당시 오대양은 금속공예품을 만드는 전도유망한 회사로 알려졌다. 사장 박순자는 자수성가한 여성 사업가로 대통령 표창까지 받은 인물이다. 그는 보육 시설과 직원 자녀 학사 운영 등 복지에 아낌없이 투자했고 오대양은 '꿈의 직장'으로 불렸다.


박순자는 사업 확장 실패로 큰 손실을 보자 신도들에게 사채를 끌어오도록 지시했고 170억원을 모았다. 그러나 갚지 않고 쓰기만 하면서 이자가 쌓였고 독촉이 심해졌다. 당시 회사에 5억원을 투자한 중년 부부가 자금난으로 돈을 돌려받으려다 청년 직원 13명에게 12시간 동안 집단 폭행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부부는 간신히 살아나왔으나 '5억원을 포기한다'는 각서를 써야 했다. 이후 경찰에 신고가 접수되면서 사건은 수사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경찰은 박순자와 직원 13명을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했다. 그러나 박순자는 조사 도중 졸도해 병원으로 이송됐고 이후 세 자녀와 함께 자취를 감췄다. 문제는 박순자가 운영하던 보육원 아이들과 회사 직원들까지 합쳐 무려 80여명이 동시에 실종됐다는 점이다.

박순자 남편은 실종자를 찾아 대전 공장으로 향했다. 당시 창고에 숨어 있던 신도 49명을 발견했지만 나머지는 행방이 묘연했다. 이어 용인 공장을 찾은 그는 주방 아주머니를 추궁했다. 묵비권으로 일관하던 아주머니는 실종 닷새째 마침내 "찾으시는 분들이 공장에 있다"고 털어놨다.
'오대양사건'은 박순자가 1984년 오대양을 설립하고 종말론을 내세우며 사이비 교주로 행세하다 신도, 자녀들과 집단 변사한 사건이다. 사진은 오대양 신도들 모습. /사진=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 날 이야기' 제공

공장 천장에서 쏟아진 32구 시신… '자의에 의한 타살'

그가 안내한 곳으로 가자 충격적인 장면이 펼쳐졌다. 공장 천장의 좁은 공간에는 32구의 시신이 겹겹이 쌓여 있었고 이 중에는 박순자와 세 자녀도 포함돼 있었다. 대부분 속옷 차림이었으며 손발이 결박돼 있었고 목에는 뚜렷한 교살 흔적이 남아 있었다.


부검 결과 독극물이나 약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사인은 모두 '경부 압박에 의한 질식사'였다. 경찰은 박순자가 이경수 공장장에게 자신을 교살하게 하고 이어 남자들이 여성을 교살한 뒤 마지막에 이경수가 극단선택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엄청난 사채 이자를 감당하지 못한 상태에서 경찰과 언론의 압박이 커지자 이런 결정을 한 것으로 봤다.

조사 결과 박순자는 암을 앓다 기도로 완치 판정을 받은 뒤 스스로 '선택받은 자'라 여기며 교주로 군림했다. 그는 신도 확보를 위해 사회사업가로 포장해 복지사업을 하다 어느 정도 신뢰가 쌓이면 오대양에서 함께 살자고 유혹해 직원으로 만들었다. 이들은 1988년 종말론을 믿으며 구원받기 위해 무조건 교주의 지시를 따랐다.

천장에서 죽음을 맞은 사람들은 가장 많은 돈을 빌려왔던 31명으로, 박순자가 직접 추린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생존자들의 증언이었다. 일부는 "시신으로 발견된 32명 안에 들지 못해 자괴감을 느꼈다"거나 "들림 받지 못해 서운했다"는 말을 남겼다.

당시 사건을 수사한 경찰은 오대양 집단 변사를 두고 한여름 천장 온도가 70도에 육박해 4박5일 동안 좁은 천장에 숨어 있던 사람들이 기진맥진한 상태로 죽음을 맞은 '자의에 의한 타살 사건'이라고 결론 내렸다. 다만 왜 수십명이 저항하지 못한 채 죽음을 받아들였는지는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