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60% 이상이 60세 이상 고령자를 계속 고용하는 방식으로 정년 연장이나 폐지보다는 '재고용'을 선호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찾은 고령층 구직자. /사진=뉴스1

기업 10곳 중 6곳이 60세 이상 고령자를 계속 고용하는 방식으로 '재고용'을 선호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전국 30인 이상 기업 1136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고령자 계속고용에 대한 기업 인식 및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61%가 60세 이상 근로자의 고용 방식으로 '재고용'을 가장 선호한다고 답했다. 이는 기업 규모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나타난 결과다.


재고용은 정년 퇴직한 근로자와 기존 근로관계를 종료한 뒤 새로운 근로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이다.
60세 이후 고령자 계속고용방식에 대한 기업 선호도 조사 결과. /그래픽=한국경영자총협회

조사 결과, 재고용되는 고령 근로자의 적정 임금 수준에 대해 응답 기업의 50.8%가 '퇴직 전 임금 대비 70~80% 수준'이라고 답했다. 재고용 대상자를 선정할 때 '업무 성과나 결격사유 여부 등으로 선별한다'고 답한 기업은 84.9%에 달했다.

경총은 고령 인력을 지속 가능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업 현실에 맞는 임금 조정이 필수적이라고 분석했다.

고령자 고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으로는 '고령 인력 채용 시 세제 혜택 부여'(47.7%, 복수응답)와 '고령 인력 인건비 지원'(46.3%, 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꼽았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고령인력 활용의 인건비 부담을 줄이고 기업이 함께 일할 사람을 선택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조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