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관세 정책 불확실성 고조와 국채 수익률 상승 등 겹악재로 뉴욕증시가 일제히 하락했다.
2일(이하 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따르면 이날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49.07포인트(0.55%) 내린 4만5295.8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4.72포인트(0.69%) 낮아진 6415.54로 장을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75.92포인트(0.82%) 하락한 2만1279.63으로 종료했다.
이날은 미국 항소법원이 지난달 29일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이 위법하다고 판결한 이후 처음 열린 뉴욕증시 거래일이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관세에 대한 전망이 불투명하다"며 "분석가들은 이 판결이 관세 수입 감소와 재정적자 확대 가능성을 불러일으키며 시장 우려를 증폭시켰다고 본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항소법원 판결 이후 증시가 하락하고 있다고 직접 언급하며 "(대법원의) 신속한 판결을 요청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주식시장에는 관세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관세 불확실성에 리사 쿡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 해임 관련 불안까지 겹치면서 국채 수익률은 상승했다.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전장 대비 4.9bp(베이시스포인트) 오른 4.276%, 3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5.3bp 오른 4.971%로 나타났다.
이날 발표된 미국 공급관리협회(ISM) 8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미국 경제 불안을 시사하며 주가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 PMI는 시장 예상치를 밑도는 48.7로 집계됐다.
시장은 연이어 발표될 주요 지표 추이를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 4일에는 7월 무역수지, 8월 ISM 비제조업 PMI,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 등이 발표된다. 5일에는 8월 고용보고서(비농업 신규고용 및 실업률)의 발표가 예정됐다.
이날 종목별로는 그간 급상승을 보였던 주요 빅테크 종목들에서 일제히 차익실현이 나타났다. 글로벌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는 1.95% 떨어졌다. 아마존(1.60%), 애플(1.04%), 테슬라(1.35%) 등도 일제히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