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앞으로 20년 안에 경제활동인구가 1만명도 없는 지자체가 15곳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0여년 뒤에는 일할 사람을 구하기도 어려운 지역이 속출할 수 있다는 경고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은 이 같은 내용의 '인구변화가 지역별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BOK경제연구를 14일 공개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와 정종우 한은 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2042년 경제활동인구가 1만명 밑으로 떨어지는 시군구가 15곳(전체 228곳의 6.6%)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경제활동인구 1만명 미만인 도시는 없다. 그러나 2032년에는 1곳이 나타나며 그로부터 10년간 매우 빠른 속도로 불어날 전망이다.
경제활동인구 10만명 이상~20만명 미만 시군구는 2022년 기준 64곳이었으나 2042년에는 41곳까지 급감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만명 이상~3만명 미만은 같은 기간 49곳에서 69곳으로 급증할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적으로 105개 시군구에서 경제활동인구가 30% 이상 감소하고, 31곳에서는 50% 이상 추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2032년까지 생산연령인구가 35% 이상 감소하는 시군구는 경북과 경남 북부에 집중될 것으로 전망됐다. 전남·전북에서는 25~35% 줄어들 시군구가 다수 분포했다. 경기와 충북·충남 북부, 세종, 대전 일부, 제주 등은 생산연령인구가 늘거나 유지되는 지역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됐다.
경제활동인구의 지역별 양극화는 심화할 전망이다. 경제활동인구 30만명 이상인 시군구는 현재 18개에서 2042년 21개로 오히려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경제활동인구 상위 10%-하위 10% 지역 간 격차는 13.4배에서 26.4배로 두 배 가까이 확대되며 지니계수도 0.49에서 0.56으로 높아진다.
이런 현상은 청년 인구가 소수의 특정 도시에 집중적으로 유입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특히 일자리와 인프라 등 경제 기반을 갖춘 대도시는 노동 인구를 유지·확대하는 반면 중소 도시는 급속히 무너져 지역 간 격차가 벌어지게 된다.
시나리오 분석 결과 청년층의 대도시 이동이 줄면 경제활동인구 불균등 추세는 완화되고 장년층의 중소도시 이동이 감소하면 불균등이 심화할 것으로 예측됐다. 정 부연구위원은 "이 중에서도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청년층 인구이동"이라고 설명했다.
저자들은 이에 "청년층의 대도시 집중을 완화하고 보충적으로 장년층의 중소도시 유입을 촉진하는 것이 지역 간 노동 인구 불균형을 막는 데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수준 높은 교육·문화 인프라와 양질의 일자리가 갖춰진 지역 거점도시를 육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