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7일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을 만나 서울-양평 고속도로 원안 조속 추진, 수도권 철도망 구축, 주한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등 4대 현안에 대한 협조를 요청했다.
이날 만남은 서울 국토발전전시관에서 40여 분간 이뤄졌으며 김 장관은 김 지사의 요청에 대부분 공감하며 긍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4대 현안 중 하나인 서울-양평 고속도로 원안 추진은 2022년 3월 국토부가 타당성조사 용역 착수 이후 3년 이상 중단된 상태다. 이날 김 장관은 지역 주민들은 여전히 교통정체로 인한 큰 불편을 겪고 있으며, 경제적 손실도 가중되고 있다며 신속한 사업의 재추진을 요청했다. 김 장관은 "빠른 시일내에 정상화 해야 한다"는 데 입장을 같이했다.
'수도권 철도망 구축'과 관련해 김 지사는 도에서 신청한 사업이 국가·광역 철도망에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검토를 요청했다. 서울 잠실에서 성남-용인-수원-화성시 등을 연결하는 경기남부광역철도, SRT 의정부 연장 문제 등 경기남북부 철도망 문제의 중요성에는 모두 공감했다.
GTX-C 노선의 조기 착공과 사업 지연 해소 방안도 논의했다. 이는 지난 8월 김 지사가 경제부총리, 기재부 2차관을 직접 만나 물가특례 적용 등 공사비 현실화를 통한 조속한 착공에 대해 선제적으로 건의해 긍정적 답변을 끌어낸 사업이다.
또 주요 현안인 '주한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활성화'에 대한 방안도 논의했다. 김 지사는 반환공여구역 주변 교통망 확보를 위해 KTX 파주 문산 연장선 제5차 국가철도망계획 반영, 동두천시에서 추진 중인 GTX-C 동두천 연장 노선이 반환공여구역 주변지역 지원사업에 반영돼 국비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을 요청했고, 김 장관은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1기 신도시 정비사업 신속추진에 대한 지원도 요청했다. 김 지사는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의 신속·원활 추진을 위한 제도개선의 필요성 강조했다. 경기도는 고도제한으로 재산권 침해를 겪는 지역의 공공기여 비율 완화, 기준용적률을 초과해 수립한 정비계획에 적용되는 가중 공공기여 비율의 최소 기준을 40%에서 30%로 완화하는 내용 등을 건의한 상태다.
김 지사는 이날 만남 직후 자신의 SNS에 글을 올려 "국토교통부장관께서 경기도 현안과 건의에 전향적이고 적극적인 추진 의사를 보여주셔서 든든하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