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한국과 마주 앉을 일이 없으며 그 무엇도 함께하지 않을 것"이라며 재차 남북 관계 개선에 선을 그었다.
22일 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지난 20, 21일 만수대의사당에서 진행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3차 회의에서 중요연설을 하면서 "이 기회에 한국과의 관계에 대한 우리의 입장을 보다 분명히 하고자 한다"며 "일절 상대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우리와 대한민국은 지난 몇십 년 동안 국제사회에서 사실상 두 개 국가로 존재해 왔다"며 "조선 반도(한반도)에 지구상 가장 적대적인 두 국가, 전쟁 중인 있는 두 교전국이 첨예하게 대치되어 온 것은 엄연한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한국을 타국으로, 가장 적대적인 국가로 규제한 사실이 어제, 오늘 갑작스레 내린 판단에 의한 것이 아니다"라며 "가장 적대국이라고 하는 것은 그들이 가장 적대적인 반공화국 적대행위의 역사를 걸어왔기 때문"이라며 남북 관계 악화의 원인을 한국으로 돌렸다.
이어 김 위원장은 "어느 하나가 없어지지 않으면 안 될 통일을 우리가 왜 하겠습니까"라며 "국익의 견지에서 볼 때 우리는 정치, 국방을 외세에 맡긴 나라와 통일할 생각이 전혀 없다, 철저히 이질화되었을 뿐 아니라 완전히 상극인 두 실체의 통일이란 결국 하나가 없어지지 않고서는 성립될 수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우리는 명백히 우리와 한국이 국경을 사이에 둔 이질적이며 결코 하나가 될 수 없는 두 개 국가임을 국법으로 고착시킬 것"이라면서 지난 2024년 1월 최고인민회의에서 남북 관계를 "교전 중인 적대적 두 국가관계"로 처음 정의하고 "헌법에 영토·영해·영공 조항을 신설해 주권 행사 영역을 규정하고, 통일과 관련한 표현을 모두 삭제"하는 내용의 개헌을 지시한 것이 이 지시가 아직 이행되지 않았음을 시사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실명을 거론하며 김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가 이전 정권들과의 차별화를 위해 우리에 대해 그 무슨 '관계 개선'이요 '평화'요 하면서 '융화 노선'을 제창하고 있는데 본질상 달라진것은 아무것도 없다"면서 "'흡수통일' 야망에 있어서는 오히려 반공화국 정책을 국시로 정하였던 이전의 악질' 보수' 정권들을 무색게 할 정도"라고 말했다.
그 근거로는 남북 관계 복원을 외치면서 "돌아앉아서는 상대에 대한 핵 선제타격을 노린 핵 작전 연습, 다령역합동군사연습과 같은 침략적인 전쟁 시연을 확대 강화"하고 있다며 이재명 정부 들어 처음으로 의결한 내년 예산안에는 군사비가 8.2%가 증강을 언급하며 "반공화국 대결 광신으로 악명 떨친 윤석열 정권을 훨씬 능가"했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적들은 지금 대화 중단이 지속될수록 '북한의 핵, 미사일 능력'은 더욱 강화된다"고 하면서 대화를 빨리 재개해야 한다고 내놓고 떠들고 있다"면서도 "현 집권자의 이른바 '중단-축소-비핵화'라는 '3단계 비핵화론' 역시 우리의 무장해제를 꿈꾸던 전임자들의 '숙제장'에서 옮겨 베껴온 복사판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