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후변화로 인한 기류 불안정이 심화되면서 최근 5년간 우리나라 상공에서 관측된 난기류가 13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 안전에 새로운 변수가 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30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위상 국민의힘 국회의원(비례대표)이 항공기상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고도 2만피트(약 6km) 이상 한반도 상공에서 항공기 장비로 관측된 난기류는 2019년 3만7128건에서 2024년 49만4412건으로 늘었다.
연도별로는 2019년 3만7128건, 2020년 5만8649건, 2021년 7만7011건, 2022년 7만2070건, 2023년 17만3241건, 2024년 49만4412건으로 집계됐다.
특히 기내 이동이나 기내식 서비스가 어려운 수준의 '보통' 강도 이상 난기류는 지난해 3959건 발생해 2019년(634건) 대비 6배 이상 늘었다. 이 같은 증가세는 항공 사고 피해로도 이어졌다.
실제 국토교통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난기류로 인한 중상자는 총 6명으로, 이 가운데 3명이 지난해에 집중됐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역시 지난해 전 세계 민간 여객기 사고 95건 중 난기류 사고가 32건(33.7%)으로 가장 많았다고 밝힌 바 있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가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지구 온난화로 제트기류가 약화되며 기류 불안정이 커지고, 지표면 가열에 따른 열대 지역 대류 활동이 활발해져 난기류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난기류가 항공 안전의 새로운 리스크로 떠오른 만큼 기상청은 기류 예측의 정밀도를 높이고 관제탑·조종사와의 실시간 정보 공유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