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납치·감금·살인 등 강력 범죄가 잇따르고 있지만, 현지 대사관의 대응이 믿을 수 없는 수준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납치 한국인 구조요청에 캄보디아 대사관 대응'이라는 게시물이 올라와 화제다. 해당 게시물에는 납치된 한국인이 숨겨둔 휴대전화로 현지 대사관에 구조를 요청했으나, 대사관 측은 본인이 직접 캄보디아 경찰에 신고해야 한다고 안내하는 카카오톡 대화 내용이 담겼다.
납치된 한국인이 "이쪽 나라(캄보디아)말을 못 하는데 어떻게 신고하냐"고 반문하자 대사관 측은 "수색영장 발부받고 오는 거라 걱정 안 해도 된다"라거나 "구글 번역기 등으로 신고해달라"고 알렸다. 또 겨우 대사관 앞에 도착한 피해자에게 대사관 측은 "다 퇴근하고 없으니까 가라" "내일 업무시간에 오라"는 답을 남겼다.
해당 게시물을 본 누리꾼들은 "대사관 대응이 왜 이러냐" "대사관 직원도 공범이다" "대사가 캄보디아인이냐. 심각하다" "대사관 없는 거나 마찬가지 아니냐" "캄보디아에서 한국 가려면 공항, 대사관, 이민청 루트가 정해져 있어서 조직원들은 여기 앞에서 다시 잡아간다더라" 등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현지 대사관의 신고 가이드라인은 '본인 신고 원칙'을 강조한다. 특히 가족이나 지인이 신고했을 경우 감금 피해자가 '나는 괜찮다'라고 한다면 허위신고로 구속될 수 있다는 내용도 명시돼 있다. 또 '대사관은 현지 사법기관이 진행하는 조사 및 보호 조치에 어떠한 관여도 할 수 없다' '신고 방법은 알려줄 수 있으나 자력 탈출을 권유한다' '구조팀, 차량 지원이 불가능하다' 등의 문장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캄보디아 현지 경찰에 신고할 땐 피해자 본인이 직접 현재 위치와 장소의 본인 사진, 연락처, 여권 사진(대체 신분증) 등을 첨부해 신고해야 출동한다. 요청한 자료 중 하나라도 빠지면 출동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현지 범죄 단지들은 감금 전 여권과 휴대전화 등을 빼앗아 피해자가 직접 신고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상황이라고 알려졌다. 이에 대사관 측 대응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대상 취업사기·납치·감금 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 합동대응팀은 지난 15일(현지 시각) 캄보디아에 도착했다. 대응팀 단장인 김진아 외교부 제2차관은 "추가적인 피해가 없도록 총력을 다해 예방 대책을 세우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타국에 비해 대응이 늦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