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과 미래 로고. /사진제공=청년과미래

국회 사무처 소관 사단법인 청년과미래가 5일 성명을 내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의 '새벽배송 금지' 주장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이 단체는 해당 주장이 "청년 세대의 생활 방식과 산업 생태계를 무시한 일방적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청년과미래는 새벽배송이 "20·30대 청년층의 시간 관리 구조와 소비 활동에 고착된 생활 서비스이자, 청년 고용과 창업이 활발한 디지털 물류 산업의 핵심 영역"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산업을 멈추는 대신 제도적·기술적 개선을 통해 지속 가능한 노동환경과 산업 혁신을 병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새벽배송이 AI 수요 예측, 스마트 창고 등 첨단 기술 기반의 미래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최근 '소비자와 함께'와 '한국소비자단체연합' 조사에 따르면, 새벽배송을 이용한 소비자 98.9%가 "앞으로도 계속 이용하겠다"고 응답했으며, 서비스 중단 시 불편함을 느낄 것이라는 답변도 64.1%에 달했다. 또 쿠팡파트너스연합회 조사 결과, 택배기사 93%가 새벽배송 금지에 반대하고, 95%는 "계속 서비스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청년과미래는 "국민 10명 중 8명, 청년층의 90% 가까이가 새벽배송 유지에 찬성하는 등 사회적 공감대가 명확하다"며 "이는 새벽배송이 단순한 유통 서비스가 아니라 청년의 삶과 산업 구조 전반에 뿌리내렸다는 증거"라고 덧붙였다.


이어 "노동자의 권익 보호는 중요하지만, 민주노총의 주장은 산업 현장과 청년층의 다양한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며 "지금은 갈등을 부추길 때가 아니라 산업과 노동이 함께 지속 가능한 방향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단체는 해결 방안으로 청년 인력의 디지털 물류 역량 강화 교육과 다양한 세대·직종이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