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가 전국 최초로 기업의 RE100 달성을 지원하는 '영농형 태양광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기업에는 친환경 전력 조달 기반을 농민에게는 지속 가능한 기본소득 모델을 제시하며 에너지 전환과 농촌 소득 안정을 동시에 도모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광주시는 5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본량동 영농형 태양광 민관협의회 출범식'을 열고 사업의 공식적인 출발을 알렸다. 이날 행사는 광주시가 주최하고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이 주관했으며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인 '농민 햇빛연금 기본소득' 실현을 위한 중요한 발판으로 평가됐다.
출범식에는 강기정 광주시장을 비롯해 우원식 국회의장,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박균택 국회의원, 신수정 시의회 의장, 이원주 기후에너지환경부 에너지전환정책실장 등 주요 인사와 지역 농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해 사업 추진 의지를 다졌다.
'영농형 태양광'은 농지의 상부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해 전력을 생산하면서 하부에서는 농작물을 재배하는 이중 활용 시스템이다. 동일한 토지에서 농업과 친환경 에너지 생산을 병행함으로써 토지 이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시의 이번 사업은 전국 최초로 '기업 RE100'과 연계된 영농형 태양광 모델로 추진된다. 광산구 본량동 일원 약 20만㎡의 농지에 1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해 생산된 전력을 인근 기업에 공급함으로써 RE100 달성을 지원한다. 농민과 기업이 모두 수익을 공유하는 새로운 상생 구조를 만드는 셈이다.
이번 사업은 '농민 주도형'으로 기획돼 연말까지 특별법 제정과 농지법 개정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출범한 '본량동 영농형 태양광 민관협의회'에는 본량동 주민, 정부 관계자, 광주시·광산구 공무원, 시·구의회 의원 등이 참여해 사업 추진 과정에서의 갈등 조정과 사회적 합의 도출에 나선다.
또 재생에너지지구 지정과 영농법인 설립 지원 등 행정적 뒷받침을 강화해 사업 성공의 토대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축사에서 "민관협의회는 에너지 전환이라는 국가적 과제와 지역의 이해관계를 대화와 협력으로 풀어내는 상생의 장"이라며 "농민 중심의 모범적 영농형 태양광 모델이 정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번 사업은 농민에게는 햇빛연금, 기업에는 RE100 실현이라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광주형 영농형 태양광이 전국적인 표준 모델로 자리잡아 농업과 에너지가 공존하는 미래를 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