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13~16일 나흘간 '지스타 2025'가 개최됐다. 사진은 벡스코 전경. /사진=김미현 기자

"수능 주간이라 학교에 안 가서 놀러 왔어요"

14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앞은 이른 시각부터 발 디딜 틈이 없었다. 전날 수능을 마친 수험생과 수능 여파 휴업일로 여유가 생긴 고등학생들이 몰리며 행사장은 이른 아침부터 '구름 인파'를 이뤘다. 교복 대신 편안한 차림으로 지스타를 찾은 김민수군(18)은 "수능이 끝난 다음 날이라 학교에 가지 않고 오전부터 줄을 섰다"며 "아이온2와 팰월드 모바일이 제일 기대된다. 부스 대기 줄이 길어도 꼭 체험해보고 싶다"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올해 지스타는 지난 13일 개막해 오는 16일까지 나흘간 열린다. 총 44개국 1273개사 3269개 부스 규모로 진행되며 일반 관람객이 즐기는 BTC관과 업계 관계자들의 미팅이 이루어지는 BTB관으로 나뉘었다. 입장이 시작되자 지스타 관계자는 "입장 팔찌가 보이게 손을 하늘 높이 올려달라"며 연신 소리쳤다. 한꺼번에 몰려든 관광객으로 출입구와 통로 곳곳이 정체되기도 했다.

제1전시장에는 엔씨소프트·넷마블·웹젠 등 국내 대표 게임사들이 부스를 열고 관람객을 맞이했다.

메인스폰서 다운 엔씨소프트, 관객들 몰렸다

'지스타 2025'에서 엔씨소프트 부스의 열기는 뜨거웠다. 왼쪽 사진은 아이온2 체험존, 오른쪽 사진은 신더시티 체험존의 입장 제한 안내 팻말. /사진=김미현 기자

올해 지스타의 중심은 단독 300부스 규모로 메인 스폰서에 나선 엔씨소프트였다. 중앙 돔 상영관과 양측의 시연존으로 구성된 부스에서는 초대형 파노라마 스크린을 통해 신작 트레일러를 상영해 눈길을 사로잡았다.

특히 '아이온2'와 '신더시티' 체험존에는 관람객이 몰리며 긴 대기 줄이 형성됐다. 첫날 오전 11시 기준 '아이온2'의 대기시간은 4시간이 넘어 사실상 입장 마감이었다. 엔씨소프트 관계자는 "지금 서 있는 대기자들이 오후까지 체험하면 바로 행사가 끝날 정도라 조기 마감했다"고 설명했다. 14일 오전에는 몰려든 인파에 대기열 제한 안내가 걸렸고 '신더시티' 역시 평균 3시간 이상 기다려야 했다.

크래프톤·넷마블에 사로잡힌 게이머들… 대기줄 잊게 만든 재미

'지스타 2025'의 크래프톤 부스 전경. /사진= 김미현 기자

크래프톤 부스도 '팰월드 모바일'을 경험하려는 관람객들의 발길로 북적였다. 부스는 동화 속을 연상시키는 인테리어와 거대한 팰 인형탈로 꾸며져 팰월드 특유의 환상적인 세계관을 느낄 수 있었다. 부스에 마련된 '팰 사냥 존'과 '팰 포획 존'에서는 게임 속 콘텐츠를 직접 체험할 수 있었다. 신나는 음악과 함께 펼쳐진 퍼포먼스에 구경하던 관람객들은 환호하며 춤을 따라 추기도 했다. 크래프톤 부스 역시 최대 2시간 30분의 대기 행렬이 이어졌다.


해운대중학교에 다니는 홍예승군(16)은 "수능 주간이라 학교에 늦게 가서 직접 표를 사고 찾아왔다"며 "경쟁력 있는 신작들이 국내외적으로 많이 공개돼 기대된다"고 전했다. 팰월드 모바일을 막 체험하고 나온 제정우군(16)도 "9시부터 줄을 섰는데도 입구가 꽉 찼었다. 기다림 끝에 들어와 너무 재밌다"며 들뜬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지스타 2025'의 넷마블 부스에서 게임 캐릭터로 분장한 코스어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 김미현 기자

넷마블 부스에서는 '일곱 개의 대죄: Origin' 속 엘리자베스 캐릭터로 분장한 코스어들이 등장했다. 중앙에는 '몬길: STAR DIVE'의 마스코트 거대 야옹이 조형물이 전시돼 관람객들의 '인생샷' 명소로 인기를 끌었다. 넷마블은 콘솔·PC 신작 '이블베인' 시연존을 최초 공개하며 팬들의 발길을 잡았다. 넷마블 부스 역시 첫날부터 신작을 시연하기 위한 관람객들로 1시간 30분가량의 대기열이 발생했다.

돌아온 블리자드, 지스타 글로벌 위상 높여

'지스타 2025'의 BTB관. 반다이남코·유니티 등 해외 주요 게임사와 인디 개발사 부스가 모여있다. /사진=김미현 기자

BTB관에는 블리자드·반다이남코·유니티 등 해외 주요 게임사와 인디 개발사들이 대거 참가해 지스타의 글로벌 분위기를 한껏 높였다. 특히 12년 만에 지스타에 복귀한 블리자드는 제2전시장에 '오버워치2' 체험존을 마련해 큰 관심을 모았다.

올해 지스타 2025는 실제로 전년 대비 전체 부스 규모가 약 10%가량 줄고 넥슨·펄어비스·스마일게이트 등 국내 대형 게임사들이 불참해 규모 축소에 대한 우려가 컸지만 '밀도가 깊어졌다'는 평도 뒤따른다. 메인 스폰서 엔씨소프트를 비롯해 크래프톤·넷마블·웹젠 등 주요 국내사들이 볼거리를 책임졌다. 무엇보다 12년 만에 블리자드가 복귀하고 해외 게임사가 참가하며 글로벌 역량을 대폭 강화했다는 분석이다.

올해 지스타는 전년 대비 규모가 다소 축소되고 일부 대형 국내사들이 불참해 걱정이 컸지만 해외 게임사들의 복귀와 신규 참여가 더해져 글로벌 게임축제로 한 단계 도약했다는 평가다. 메인 스폰서인 엔씨소프트와 크래프톤, 넷마블 등 국내 주요사와 어우러진 글로벌 라인업으로 깊고 다양해진 볼거리와 체험을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