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내주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시장에서는 가계부채 증가와 원화 약세, 부동산 가격 재상승 등 금융안정 리스크가 커진 만큼 한은이 4회 연속 '동결'을 택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한은은 오는 27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현재 연 2.50%인 기준금리의 조정 여부를 논의한다. 한은은 지난 7월과 8월, 10월 금통위에서 동결 결정을 내린 바 있어 이번에도 '제자리걸음'이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시장에서는 가계부채 확대, 원화 약세 심화, 미국과의 금리차 확대 우려 등 여러 요인이 맞물리며 한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고 본다.
우선 가계부채는 다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한은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68조3000억원으로, 전분기(1953조3000억원)보다 14조9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02년 4분기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여기에 정부가 '10·15 부동산대책'을 통해 주택가격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15억원 이하 6억원 ▲15억원 초과 4억원 ▲25억원 초과 2억원으로 제한하며 한은도 부동산 과열에 경계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고환율 흐름도 금리 인하 기대를 떨어뜨린다. 지난 21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7.7원 오른 1475.6원에 마감하며 4월 고점(1484.1원)을 넘어섰다. 이 같은 상황에 한은이 금리를 내릴 경우 미국(3.75~4.00%)과의 금리차가 확대돼 자본유출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중장기적으로 금융안정은 부동산보다 외환시장에 더 큰 비중을 둬야 한다"며 "외환 대응능력이 약해진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하는 금융안정을 동시에 훼손하는 결정"이라고 평가했다.
한은은 이날 기준금리 결정과 함께 '11월 경제전망'도 발표한다. 지난 8월 전망에서는 올해 국내 성장률을 0.9%, 내년 성장률을 1.6%로 제시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최근 외신 인터뷰에서 "내년 성장률은 1.6%로 전망했지만, 2주 뒤 발표하는 전망에서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성장률 상향은 금리 인하 명분을 약화 시키는 만큼 4연속 동결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해외 투자은행(IB)들도 내년 우리나라의 성장률을 1.9% 안팎으로 전망한다. 씨티는 기존 1.6%에서 2.2%로 상향했고, JP모건과 골드만삭스도 각각 2.2%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