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현지시간)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에서 정상들이 단체 사진을 촬영했다. 왼쪽 세번째부터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기브란 라카부밍 라카 인도네시아 부통령,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위원장, 안토니우 코스타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 주앙 로렌수 앙골라 대통령,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이재명 대통령,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 파이살 빈 파르한 알 사우드 왕자 사우디아라비아 외교부 장관, 파블로 키르노 아르헨티나 외교부 장관 /사진=(요하네스버그 로이터=뉴스1)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G20(주요20개국) 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들은 2028년 개최지를 한국으로 공식화했다.

남아프카공화국 국제관계협력부가 22일(현지시간) 공개한 'G20 남아공 정상선언문'에 각국 정상들은 2026년 미국, 2027년 영국 의장국 하에서 협력하고 2028년 대한민국에서 다시 만나기로 약속한다 했다.


선언문은 "G20은 다자주의 정신에 기반해 합의로 운영된다"며 "모든 회원국은 국제적 의무에 따라 정상회의를 포함한 모든 행사에 동등하게 참여한다"고 했다.

G20 성과검토 출범 축하 메시지와 포용·대화·파트너십 기반 G20 운영 강화 및 G20 다자주의·합의 기반 운영을 재확인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각국 정상들은 유엔 헌장의 목적과 원칙에 따라 수단, 콩고민주공화국, 점령된 팔레스타인 영토(요르단강 서안·가자지구), 우크라이나에서 정당하고 영구적 평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도 했다.


이와 함께 ▲과학·혁신·디지털, 과학·기술·혁신 국제협력 강화 ▲디지털 공공인프라(DPI) 통한 포용·회복·번영 촉진 ▲교육, 유아·기초교육 투자 ▲디지털 접근·기술 인프라·연결성 확대 ▲문화유산·반부패, 문화재 반환 지지 ▲사회결속·정체성 강화 등도 협력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