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자산운용은 최근 중일갈등으로 한국 관광 수요가 증가하며 이와 관련된 TIGER 화장품 및 TIGER 여행레저 ETF의 순자산합계가 5000억원을 돌파했다고 24일 밝혔다. /사진제공=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최근 중일갈등으로 한국 관광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TIGER 화장품 및 여행레저 ETF의 순자산합계가 5000억원을 돌파했다고 24일 밝혔다.

최근 중국이 자국민의 일본 관광 자제를 촉구하는 '한일령'이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중국인 관광객의 한국 여행 선호도가 높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이 때문에 한국의 면세점 쇼핑뿐 아니라 호텔, 테마파크, 카지노 등 고부가가치 레저 소비 관련 수혜가 예상된다.


실제로 다카이치 일본 총리의 대만 관련 발언이 있던 11월 7일부터 21일까지 일본의▲시세이도 -14.4% ▲팬 퍼시픽 -8.3% ▲세이부 홀딩스 -6.6% 등 화장품 및 면세점, 호텔 관련주들은 주가가 하락했다. 반면 한국의 화장품이나 면세점, 호텔 관련주는 ▲아모레퍼시픽 5.0% ▲호텔신라 12.0% ▲롯데관광개발 23.9% 등 상승했다.

이에 따라 여행객 수요 영향을 받는 화장품 및 여행레저 ETF 또한 상승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1일 종가 기준 TIGER 화장품 ETF 순자산은 4216억원을 기록했다. 이 ETF는 K뷰티를 이끄는 한국 화장품 기업에 투자하는 ETF로 달바글로벌이나 제닉 등 신생 인디 브랜드도 편입해 화장품 산업 전반에 집중 투자 가능하다.

TIGER 여행레저 ETF의 순자산은 1092억원을 나타냈다. 이 상품은 롯데관광개발이나 파라다이스, 호텔신라 등을 편입하고 있는 국내 유일 여행레저 ETF다.


정의현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본부장은 "한국을 찾는 여행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중일 갈등으로 화장품과 여행·레저 산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TIGER 화장품과 TIGER 여행레저 ETF를 통해 한일령 이슈에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