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2022.11.22(중국 외교부 홈페이지 갈무리) ⓒ News1 김정률 기자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2022.11.22(중국 외교부 홈페이지 갈무리) ⓒ News1 김정률 기자

(워싱턴=뉴스1) 김현 특파원 = 중국은 북한이 '인공위성' 발사 계획을 일본에 통보한 것과 관련해 정치적 해결' 방향을 견지하면서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9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중국에도 인공위성 발사 사실을 통보했는지', '중국은 이번 발사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지' 등의 질문에 "한반도 상황이 오늘에 이른 데엔 이유가 있다"며 "관련 당사국들이 (북한) 문제의 핵심을 직시하고, 정치적 해결 방향을 견지하며, 의미있는 대화를 통해 정당한 우려를 균형 잡힌 방식으로 해결하길 바란다"고 답했다.


마오 대변인은 또 '북한이 통보한 위성은 사실 탄도미사일이고,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것'이라는 지적에 동일한 입장을 반복했다.

그는 "한반도 정세가 이 지경에 이르게 된 데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며, 모든 당사국들은 왜 이런 상황이 발생했는지를 진지하게 반성하고 대화를 통해 정당한 우려를 균형 있게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과 미국이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는 입장을 밝힌 데 대한 질문에도 "한반도 문제에 대한 중국의 입장은 변화가 없다"면서 "모든 당사국들은 한반도 정세의 근본 원인과 맥락, 문제의 핵심을 직시하고, 정치적 해결의 방향을 견지하며, 의미있는 대화를 통해 정당한 우려에 대한 균현잡힌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인공위성을 우주로 발사하는데 사용되는 로켓은 ICBM과 기술적으로 사실상 동일하며 안보리 결의는 그 용도와 무관하게 북한의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어떤 발사도 금지하고 있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29일 북한 당국으로부터 오는 31일 0시부터 내달 11일 0시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고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