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은 평균 27세에 인생 흑자에 진입해 43세에 최대 흑자에 도달한 후 61세부터 적자로 전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우리나라 국민은 평균 27세에 인생 흑자에 진입해 43세에 최대 흑자에 도달한 후 61세부터 적자로 전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우리나라 국민은 평균 17세에 최대 적자를 맞고 27세부터 흑자에 진입해 다시 61세를 기점으로 적자 전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1년 국민이전계정'에 따르면 1인당 생애주기적자는 17세 때 3527만원으로 가장 많고 27세부터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은 흑자에 진입해 43세에 1792만원으로 최대 흑자를 기록하며 61세부터는 다시 적자로 돌아선다.


생애주기적자는 소비와 노동소득의 차액으로 개인이 현재 노동을 통해 소비를 충족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경제적 생애주기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지표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1년 국민이전계정'에 따르면 1인당 생애주기적자는 17세 때 3527만원으로 최대 적자를 맞고 27세부터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은 흑자에 진입해 43세에 1792만원으로 최대 흑자를 기록하며 61세부터는 다시 적자로 전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표=통계청 제공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1년 국민이전계정'에 따르면 1인당 생애주기적자는 17세 때 3527만원으로 최대 적자를 맞고 27세부터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은 흑자에 진입해 43세에 1792만원으로 최대 흑자를 기록하며 61세부터는 다시 적자로 전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표=통계청 제공

통계청은 2021년 총소비는 1148조8000억원, 노동소득은 1040조원으로 나타나 총 108조8000억원의 생애주기적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지난 10년간 흑자 진입 연령은 27~28세로 일정한 편이었고 적자 재진입 연령은 2010년 56세에서 2021년 61세로 점차 늦춰지는 추세를 보였다.

1인당 소비가 가장 많은 시기는 17세로 3575만원이며 유년층은 교육소비 영향이 컸고 노년층은 보건소비 영향이 컸다. 1인당 노동소득은 16세까지 없다가 점차 증가해 43세 때 3906만원으로 정점을 기록하고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