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 3937.09 증감 아이콘 16.53 11/19 10:59
  • 코스닥 873.35 증감 아이콘 5.35 11/19 10:59
  • 원달러 1465.30 증감 아이콘 3.4 11/19 10:59
  • 두바이유 64.48 증감 아이콘 0.15 11/19 10:59
  • 금 4066.50 증감 아이콘 8 11/19 10:59
로고
채널 아이콘
  • 페이스북 아이콘
  • 인스타그램 아이콘
  • 트위터 아이콘
  • 유튜브 아이콘
  • 네이버TV 아이콘
  • 카카오플러스친구 아이콘
로그인 아이콘
  • 실시간이슈
  • 금융
  • 산업
  • 유통
  • 부동산
  • 증권
  • 전국
    • 경기
    • 부산/경남
    • 호남
    • 대구/경북
    • 인천
    • 기타
  • 오피니언ㆍ연재
    • 오피니언
    • 연재
  • 피플
    • C라운지
    • 이사람
    • 인터뷰
    • 인사
    • 부고
  • 연예ㆍ스포츠
    • 연예
    • 스포츠

[속보] 신동빈 회장 신격호 총괄회장 5분 회동 후 퇴장

작성자

성승제 기자

조회수

1,014

작성일

2015.08.03 | 16:59:59

  • 프린터 아이콘
  • 공유 아이콘
  • 글자 확대 아이콘
  • 글자 축소 아이콘

공유하기

  • 카카오 공유 아이콘

    카카오

  • 카카오 나에게 공유 아이콘

    카카오 나에게

  • 페이스북 공유 아이콘

    페이스북

  • 트위터 공유 아이콘

    트위터

  • 네이버 공유 아이콘

    네이버

  • 텔레그램 공유 아이콘

    텔레그램

  • 링크 복사 아이콘

    링크 복사

  • 카카오 공유 아이콘
    툴팁 아이콘 카카오톡
  • 카카오 나에게 공유 아이콘
    툴팁 아이콘 카카오톡나에게
  • 페이스북 공유 아이콘
    툴팁 아이콘 페이스북
  • 트위터 공유 아이콘
    툴팁 아이콘 트위터
  • 네이버 공유 아이콘
    툴팁 아이콘 네이버카페블로그
  • 텔레그램 공유 아이콘
    툴팁 아이콘 텔레그램
  • 링크 복사 아이콘
    툴팁 아이콘 링크복사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주요뉴스

  • LCC 유일 프리미엄 고객 공략 '티웨이', 장거리 노선 정면승부
  • [비즈S+]수출만큼 R&D도 성장… 방산 4사 개발비 1조 넘는다
  • '모범택시 3'에 플래그십 세단 현대차 그랜저… 안방서 눈도장
  • 아우디 코리아, Q6 e-트론·A5 앞세워 '1만 대 클럽' 복귀 시동
  • MBK "투자자 역할, 자본공급 넘어 위기시 기업과 공동체 보호"

머니S리포트

머니S 리포트 이미지

인사 시즌 맞이한 대표이사들의 성적표 점검

제약·바이오 CEO 성과와 과제

머니S 데스크칼럼

로고
송정훈 경제금융부 부국장

[데스크칼럼] 초대형IB IMA 인가… 시험대 오른 한국형 골드만삭스

금융위원회는 19일 오후 정례회의에서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의 IMA(종합투자계좌) 인가를 최종 결정한다. 초대형IB(투자은행) 제도가 시행된 지 8년 만에 나오는 첫 인가다. 새 자금 조달수단인 IMA를 누가 확보하느냐에 초대형IB 시장의 판도도 달라질 수 있어 관심이 뜨겁다. 초대형IB 제도는 골드만삭스 같은 글로벌IB 모델을 염두에 두고 설계됐다. 자기자본 4조원 이상 증권사에는 발행어음, 8조원 이상에는 IMA를 허용해 취약한 자본력을 끌어올리고 IB 본연의 기업금융 기능을 키우겠다는 취지다.IMA는 사실상 은행 예금 기능을 갖춘 계좌다. 따라서 초대형IB가 안정적으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그 만큼 책임이 따른다. 2028년까지 발행어음과 IMA 조달액의 25%를 모험자본에 공급해야 한다. 이재명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생산적 금융 실체가 모험자본 공급인데 초대형IB가 최전방에서 그 역할을 수행하는 셈이다. "한국도 진짜 글로벌IB를 만들 기

많이 본 뉴스

이전
  • 종합
  • 실시간이슈
  • 금융
  • 산업
  • 유통
  • 부동산
  • 증권
  • 전국
  • 오피니언/연재
  • 피플
  • 연예/스포츠
다음
  • 종합 많이 본 뉴스 이미지

    "아내에 걸리자 창문으로"… 호텔서 불륜하다 숨진 친구, 조문 갈까요?

    2

    "내란 빤스 입고 오셨냐"… 격분한 전광훈 "조용히 해, XXX야"

    3

    '쯔양 협박' 유튜버 구제역, 수감 중 은퇴 선언… "사죄 드린다"

    4

    [속보] 셀트리온, 미국 공장 6.6만리터 증설… 최대 7000억원 투자

    5

    평택 지제·세교지구 개발사업, 조합원-집행부 '파열음'

  • 실시간이슈 많이 본 뉴스 이미지

    "아내에 걸리자 창문으로"… 호텔서 불륜하다 숨진 친구, 조문 갈까요?

    2

    "내란 빤스 입고 오셨냐"… 격분한 전광훈 "조용히 해, XXX야"

    3

    10세 예비 시동생, 상견례 자리서 "합격"… 부모 맞장구에 '파혼'

    4

    'LH아파트 어떻게 바뀌면 좋은가' 시공능력·예산 등 개혁 관건

    5

    흰옷 입고 긴머리카락 흔드는 UAE 소녀들… '알 아얄라' 의식 무엇?

  • 금융 많이 본 뉴스 이미지

    우리은행 영업점서 '타은행' 업무까지… 오픈뱅킹, 대면으로 확대

    2

    [데스크칼럼] 초대형IB IMA 인가… 시험대 오른 한국형 골드만삭스

    3

    "혹시 중고거래세요?" 카카오뱅크, 번개장터와 금융사기 예방 힘쓴다

    4

    "태극전사와 한 무대" 하나은행, 이주배경 아동에 기수단 체험 제공

    5

    농협은행, 생계형 적합업종 소기업·소상공인에 12억 출연

  • 산업 많이 본 뉴스 이미지

    LCC 유일 프리미엄 고객 공략 '티웨이', 장거리 노선 정면승부

    2

    [비즈S+]수출만큼 R&D도 성장… 방산 4사 개발비 1조 넘는다

    3

    '모범택시 3'에 플래그십 세단 현대차 그랜저… 안방서 눈도장

    4

    아우디 코리아, Q6 e-트론·A5 앞세워 '1만 대 클럽' 복귀 시동

    5

    MBK "투자자 역할, 자본공급 넘어 위기시 기업과 공동체 보호"

  • 유통 많이 본 뉴스 이미지

    [속보] 셀트리온, 미국 공장 6.6만리터 증설… 최대 7000억원 투자

    2

    [기자수첩] 같은 바이오, '극과 극' 주주 신뢰

    3

    [헬스S] 찬바람과 함께 찾아온 '노로바이러스' 주의보

    4

    "K치킨 판타스틱"… 미국 네바다주 사절단, BBQ서 '치맥'

    5

    G마켓, 라자다 프로모션 매출 4배 증가… K상품 수출 탄력

  • 부동산 많이 본 뉴스 이미지

    'LH아파트 어떻게 바뀌면 좋은가' 시공능력·예산 등 개혁 관건

    2

    [주목! 경매] 행당동 아파트 114.6㎡ 1회 유찰 11억6800만원

    3

    '건설 빅5' 수익성 안정… 삼성·DL·GS 원가율 80%대 하락

    4

    "올해보다 내년 더 힘들다"… 건설업계 덮친 고환율 리스크

    5

    한국부동산원, 신임 원장 공모 착수… 국토부 산하 기관장 늦어진 인선

  • 증권 많이 본 뉴스 이미지

    [특징주] 엔씨소프트, 아이온2 출시에도 '급락'

    2

    [체크!코스닥] '문제 투자자' 집결… KH 회장 도피·FI 기업사냥꾼 연루

    3

    [특징주]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재점화로 '강세'

    4

    [특징주] 엔비디아 실적 경계감에 국내 반도체주 약세

    5

    "시총 절반이 동참" 밸류업 지수 1600선 유지… 열기 확산 지속

  • 전국 많이 본 뉴스 이미지

    평택 지제·세교지구 개발사업, 조합원-집행부 '파열음'

    2

    [고양 소식] 음식물류 폐기물 관리 평가서 우수 지자체 선정

    3

    손희권 경북도의원 "공사현장 사고 원인규명도 대책도 없어" 질타

    4

    임태희 "다문화 학생 한국어 선 이수제, 도 전역 확산"

    5

    시흥시, 1조6419억원 규모 내년 예산 편성

  • 오피니언/연재 많이 본 뉴스 이미지

    [기자수첩] 같은 바이오, '극과 극' 주주 신뢰

    2

    [데스크칼럼] 초대형IB IMA 인가… 시험대 오른 한국형 골드만삭스

    3

    [헬스S] 찬바람과 함께 찾아온 '노로바이러스' 주의보

    4

    [비즈S+]수출만큼 R&D도 성장… 방산 4사 개발비 1조 넘는다

    5

    [헬스S] 임신 중 술 한 모금…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 피플 많이 본 뉴스 이미지

    [인사] CJ그룹

    2

    대원제약 자회사 에스디생명공학 대표에 '오너 3세' 백인영

    3

    한국부동산원, 신임 원장 공모 착수… 국토부 산하 기관장 늦어진 인선

    4

    "기술이 미래"…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초격차 기술 개발 당부

    5

    농협금융, 글로벌 워크숍 진행… 이찬우 회장 "국경 넘는 시너지

  • 연예/스포츠 많이 본 뉴스 이미지

    '쯔양 협박' 유튜버 구제역, 수감 중 은퇴 선언… "사죄 드린다"

    2

    '제2의 기회' 누릴 선수는… 프로야구 2차 드래프트 오늘 비공개 진행

    3

    '학폭 소송 패소' 진해성 "항소 포기=학폭 인정 아냐, 더 이상 논란 없기를"

    4

    '두산행' 박찬호, KIA팬에 작별 인사… "나 없어도 후배들이 잘할 것"

    5

    촬영중 실신 김수용 "심폐소생 20분에 갈비뼈 금, 혼자였으면 죽었을 것"

오늘의 역사

로고
2019년 11월17일(이하 현지시각).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 19 바이러스가 최초로 보고됐다. 사진은 2020년 2월6일 중국 우한 병원 중환자실에서 코로나 19 확진자를 진료 중인 의료진들의 모습. /사진=로이터

공포의 코로나 바이러스… 중국 우한서 최초 보고 [오늘의 역사]

2019년 11월17일(이하 현지시각) 전 세계를 두려움에 빠트린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최초 보고됐다.이날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중국 우한에서 최초 로보고됐다. 바이러스가 최초 보고된 후 2020년 1월부터 코로나19는 중국을 넘어 아시아 대륙으로 퍼졌다. 이후 코로나19는 발생 2개월 만에 전 세계로 퍼지기 시작했다. 이에 세계보건기구(WHO)는 2020년 1월31일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아울러 같은해 2월28일부터 코로나19 바이러스 전 세계 위험도를 "매우 높음"으로 격상했고 3월11일 범유행전염병으로 선언했다.WHO는 2020년 10월6일 무증상 확진자를 고려해 전 세계 인구 중 약 10%(약 7억6000만명)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걸렸다고 추정했다. 2019년에 최초 보고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이후 2년이라는 시간 동안 장기화됐고 전 세계는 온라인 사회로 변했으며 "포스트 코로나"라는 신조어를 탄생시켰다.━2020년에 선포된 비상사태, 3년 지나서

여행픽

로고
11월이면 황금빛으로 무르익은 은행나무를 만날 수 있다. 사진은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사진=한국관광공사

[여행픽] "지금 놓치면 1년 기다려야"… 전국 은행나무 명소

한 해의 끝자락에 가까워지는 11월이 되면 자연은 황금빛으로 무르익는다. 수백년의 세월을 간직한 고목부터 한라산의 정취를 담은 사찰까지 노랗게 물든 은행잎을 따라 걷다 보면 가을의 정취를 온전히 누리게 된다. 지금이 아니면 1년을 기다려야 하는 늦가을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한국관광공사가 전국 은행나무 명소 5곳을 소개한다.━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800년이 넘는 오랜 시간 한 자리에서 굳건하게 마을을 지켜온 나무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예로부터 신목으로 여겨진 이 은행나무는 가을에 단풍이 일시에 들면 다음 해에 풍년이 든다는 전설을 품고 있다. 높이 약 33m, 밑동 둘레 약 16m에 달하는 거대한 은행나무의 웅장함은 보는 이를 압도한다. 멀리서 보면 여러 그루의 은행나무가 한 데 서 있는 것처럼 보일 만큼 크기와 위용이 남다르다. 나무 한 그루가 만들어내는 독보적인 존재감 덕분에 "인생샷 성지"로 입소문이 났다. 주말에는 방문객이 많아 주차가 어려울 수 있으

쇼츠 아이콘 머니S쇼츠

더보기

더보기 아이콘
늘어나는 지하철 빌런들, 이젠 &#39;동방무례지국?&#39; 재생 아이콘

맛집로드

로고
프랑스는 치즈 등 자국의 숙성·발효 음식을 국내에 알리고 있다. 사진은 르므니에 압구정점에 진열된 치즈. /사진=다이어리알

[맛집로드] 자연과 시간이 빚어내는 '숙성'의 미학

"숙성"과 "발효"는 최근 미식 트렌드의 핵심 축으로 떠오른 개념이다. 숙성은 재료가 시간과 온도 아래 천천히 변형되어 풍미가 깊어지는 과정이고 발효는 미생물 또는 효소의 작용을 통해 화학적·생물학적 변화를 거쳐 맛·향·텍스처가 진화하는 과정이다.한식이 글로벌 미식 무대에서 주목받는 이유는 김치, 젓갈, 식초 등 숙성과 발효가 음식의 기본이기 때문이다. 최근 프랑스의 미식 가이드인 "라리스트(La Liste) 2026" 한국 시상식에서는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듯 한국 음식의 깊이를 대표하는 전통장의 기순도 명인과 김치 분야의 대표주자 이하연 명인에게 "장인 정신상"을 수여했다. 오랜 미식의 역사를 지닌 프랑스는 치즈, 와인, 샤퀴테리 등 자국 음식에 깊이 스며든 숙성과 발효의 미학을 국내에 알리고자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르므니에(LE MEUNIER) 압구정점━ 프랑스의 국가 공인 치즈 명장 로돌프 르 므니에가 한국을 찾았다. 숙성 치즈 문화가 아직 초기 단계인 국

bottom 광고 이미지
서비스 전체보기
  • 뉴스
  • 전체
  • 실시간이슈
  • 금융
  • 산업
  • 유통
  • 부동산
  • 증권
  • 전국
  • 경기
  • 부산/경남
  • 호남
  • 대구/경북
  • 인천
  • 기타
  • 오피니언ㆍ연재
  • 오피니언
  • 연재
  • 연예ㆍ스포츠
  • 연예
  • 스포츠
  • 피플
  • C라운지
  • 이사람
  • 인터뷰
  • 인사
  • 부고
  • 스페셜
  • 주요뉴스
  • 랭킹뉴스
  • 머니S리포트
  • S플러스
  • 머니S쇼츠
  • ESG로드
  • 밸류업 라운지
  • 머니S 공식 SNS
  • 페이스북 아이콘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아이콘 인스타그램
  • 트위터 아이콘 트위터
  • 유튜브 아이콘 유튜브
  • 네이버TV 아이콘 네이버TV
  • 카카오플러스친구 아이콘 카카오플러스친구
로고 홍보 삼성전자 뉴스룸 CI
로고
  • 회사소개
  • 광고안내
  • 독자의견
  • 이용약관
  • 저작권규약
  • 보도윤리강령
  • 개인정보처리방침

동행미디어 시대 (주)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35 (서린동, 관정빌딩) 17층 | 제호 : e머니에스 (e money S) | 대표이사/발행인/편집인: 김형기 |
등록번호 : 서울 아01082 | 등록일/발행일 : 2010.1.5 | 사업자등록번호 101-81-94590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01-1022호 | 호스팅사업자 주식회사 후이즈 |
전자우편주소 : [email protected] | Tel : 02-723-5114 | 청소년보호책임자 : 차상엽

COPYRIGHT © MONEY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