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습기당번 @머니위크MNB, 식품 유통 · 프랜차이즈 외식 & 창업의 모든 것 |
21일 옥시는 입장이 담긴 보도자료를 통해 "가습기 살균제 사안과 관련하여 좀 더 일찍 소통하지 못해 피해자 여러분과 그 가족 분들께 실망과 고통을 안겨드리게 된 점에 대해 진심 어린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2013년 국회 국정감사에서 이 사안과 관련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렸고, 그동안 사안의 진상을 파악하는 한편 해결 방법을 찾고자 노력해 왔다"며 "저희는 오랜 동안 제품의 안전 관리 수칙을 준수해오면서 이같은 상황에 직면한 적이 없어 이번 사건과 관련한 사회적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본 사태를 해결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일 것"이라며 50억원 출연 계획에 대해서도 밝혔다.
옥시 측은 "2014년에 환경부 및 환경보전협회(KEPA)와의 협의를 통해 조건없이 50억원의 인도적 기금을 기탁했지만 이번에 위 기금에 추가로 50억원을 더 출연하고자 한다"며 "다른 기업과 마찬가지로 검찰 조사에 성실하게 협조하고, 가습기 살균제 관련 환자분들과 가족 분들을 지원하기 위한 모든 논의와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강조했다.
검찰은 최근 임신부와 영유아들이 원인 미상의 폐질환으로 숨진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과 관련한 수사를 본격화했다. 검찰이 폐 손상 유발 물질이 포함됐다고 결론 내린 제품은 옥시의 '옥시싹싹 뉴가습기 당번', 롯데마트 '와이즐렉 가습기살균제', 홈플러스 '홈플러스 가습기청정제', 버터플라이이펙트 '세퓨 가습기 살균제' 등 4개다.
이 중 옥시 제품으로 인한 피해자는 177명(사망 70명, 상해 107명)으로, 현재까지 파악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사망 94명, 상해 127명) 중 가장 피해가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지난 19일 옥시 실무진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조사했다. 검찰은 이번 주 안으로 옥시에 대한 실무진 기초조사를 마무리하고 다음주부터 전·현직 임원진 소환을 본격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