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서울 등 수도권의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해 14개 택지를 신규지정하고 24만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24만가구는 분당신도시 10만가구의 2배가 넘는 규모다. 그러나 수도권은 현재 대규모 건설이 가능한 택지가 없다. 그린벨트 해제에 무게가 실리는 이유다.
|
당장 정부와 서울시도 의견이 엇갈린다. 서울에 택지를 개발한다는 국토교통부 계획은 그린벨트 해제 없이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다. 하지만 서울시는 그린벨트 보존의 원칙을 지키는 입장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서울 내 그린벨트 규모는 19개구 총 150㎢다. 대부분은 임야(101㎢)로 서초구(24㎢)·강서구(19㎢)·노원구(16㎢)·은평구(15㎢)·강북구(12㎢) 등이 많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대규모 공공택지를 추가지정하는 자체는 긍정적"이라면서 "장기적으로는 주택시장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택지가 수요를 충족할 만한 교통·상업·인프라를 갖췄는지 여부는 중요하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만약 용산 철도정비창 부지 등의 도심이 택지로 지정된다면 수요는 몰리겠지만 또다시 집값 과열의 문제가 반복될 것"이라면서 "공급으로 인한 개발호재 역시 딜레마"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