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동탄2신도시의 한 아파트 단지. /사진=김창성 기자
경기도 동탄2신도시의 한 아파트 단지. /사진=김창성 기자
수도권 3기신도시 입지가 확정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발표 시점에 관심이 집중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3기신도시 지정 준비를 마치고 서울시 등 관계기관과 발표 시기를 조율 중이다.
19~21일 중에서 발표될 가능성이 큰 가운데 일각에서는 19일 오전 11시가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경기도 남북 지역에 각 한곳씩 미니 신도시급 택지를 선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부는 9·21 주택공급확대방안 발표 당시 서울과 일산·분당 등 1기신도시 사이에 330만㎡ 이상 대규모 공공택지인 3기신도시 4∼5곳을 조성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들 신도시에서 나오는 주택 물량은 20만호로 2021년부터 공급된다.


현재 3기신도시는 광명 시흥·하남 감북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김포 고촌·고양 화전·장항 등도 후보군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공급 확대로 집값 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지만 3기신도시 성공의 관건이 교통대책인 만큼 관련 광역교통망 계획도 발표할 전망이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 /사진=뉴스1 임세영 기자
김현미 국토부 장관. /사진=뉴스1 임세영 기자
핵심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다. A·B·C 3개 노선으로 건설되는 GTX는 지하 40㎞ 대심도를 시속 180㎞로 운행하는 고속 도심철도로 수도권 남북·동서를 잇는 교통의 중심축 기능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GTX-A(운정-동탄) 노선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를 통과해 정부가 연내 착공을 추진 중이다. 또 GTX-C(양주-수원) 노선은 예비타당성 조사 관문을 통과해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었고 GTX-B(송도-마석) 노선은 예비타당성 조사 중간검토에서 사업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인천시가 B노선의 예타 면제를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신청해 현재 면제 방안이 검토 중이다.

각 GTX 노선이 완공되면 수도권 각 지역에서 서울까지 이동시간이 1시간 이상 줄어 10~20분대면 도착 가능하다.


이밖에 도로,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등 연계 교통망 확충 방안과 김포, 파주, 화성, 평택 등 2기신도시 광역교통 개선대책도 함꼐 발표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