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어부산 코로나19 대응 위해 열화상 카메라 확보. /사진=에어부산 |
에어부산은 지난 25일부터 운항 중인 국내선 공항(김해공항·김포공항·울산공항·제주공항) 전 지점의 항공편 탑승구 앞에 열화상 카메라를 비치해 탑승객 전원에 대한 발열 여부를 확인 중이라고 27일 밝혔다.
열화상 카메라로 감지하기 때문에 탑승 수속이 지연될 염려가 없다. 에어부산은 총 13대의 열화상 카메라를 확보했다. 체온 측정 결과가 37.5도 이상인 승객은 여정 취소를 권유하거나 기내에서 다른 승객들과 분리된 좌석으로 배정된다. 추후 국제선 운항 재개 시 해외 지점에도 열화상 카메라를 비치할 예정이다.
에어부산은 코로나19로 인한 뉴노멀(New Normal)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추가적인 방안들을 준비하고 있다. 면밀하고 즉각적인 기내 방역을 위해 여객 조업사의 사업 항목에 소독업을 등록하고 자체 방역 능력을 강화한다. 이달 중순 소독장비 구매 및 소독장비 창고를 마련했으며 지난 23일 관할 구청 실사를 통해 소독업 등록을 마쳤다. 자체 소독을 진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공항에서는 비대면 서비스를 강화할 방침이다. 에어부산은 현재 탑승 당일 항공사 카운터를 방문하지 않고 탑승이 가능하도록 모바일 탑승권 서비스와 무인발급기(키오스크) 서비스 등을 운영 중이다. 매년 이용객이 증가하며 지난해 4분기 국내선 승객의 50%의 이상이 비대면 서비스를 이용해 탑승했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향후 본격적인 언택트(Untact) 시대가 열릴 것을 대비해 공항 비대면 서비스를 강화하며 홍보도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