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해 한국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 비율이 OECD 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 사진=뉴시스 |
지난해 상반기 국내총생산(GDP) 대비 외국인직접투자(FDI) 비율을 나타내는 FDI비율은 0.3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 중 25위로 나타났다.
FDI에서 해외직접투자(ODI)를 차감한 ‘순FDI’의 GDP 대비 비율 역시 -0.74%로 28위의 하위권으로 국내 투자환경 개선을 통해 투자유입을 촉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3일 한국경제연구원이 OECD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FDI비율은 2005년부터 2020년 상반기까지 OECD 37개국 중 25위∼36위 사이를 맴돌며 하위권이었지만 같은기간 ODI비율은 27위에서 12위로 상승했다.
다만 같은 기간 FDI비율에서 ODI비율을 뺀 순FDI비율은 모두 마이너스 값을 기록하며 OECD 22∼33위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이는 우리나라로 들어온 외국인직접투자는 정체되었던 반면 해외로 빠져나간 투자는 증가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2005년∼2020년 상반기를 2005년~2010년, 2011년~2015년, 2016년~2020년 상반기 3개 기간으로 나눠 보면 각 기간 FDI비율은 0.6%→0.5%→0.6%로 제자리 수준이었으며 OECD와 G5 평균을 크게 밑돌았다.
반면 ODI비율은 1.6%→1.8%→2.2%로 증가하며 OECD와 G5 평균을 추월했다. 두 비율의 차이(FDI비율-ODI비율)인 순FDI비율은 –1.0%→-1.4%→-1.6%로 악화추세를 보였다.
FDI비율이 오랫동안 OECD 하위권에서 정체돼 있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나라의 투자매력도가 떨어진다는 의미라는 게 한경연의 설명이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세계 10위권인 우리나라의 경제규모와 ODI비율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FDI비율이 낮다”고 지적하며 “규제개혁과 기업 세부담 완화 등으로 외국기업을 적극 유치해 FDI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FDI에서 해외직접투자(ODI)를 차감한 ‘순FDI’의 GDP 대비 비율 역시 -0.74%로 28위의 하위권으로 국내 투자환경 개선을 통해 투자유입을 촉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3일 한국경제연구원이 OECD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FDI비율은 2005년부터 2020년 상반기까지 OECD 37개국 중 25위∼36위 사이를 맴돌며 하위권이었지만 같은기간 ODI비율은 27위에서 12위로 상승했다.
다만 같은 기간 FDI비율에서 ODI비율을 뺀 순FDI비율은 모두 마이너스 값을 기록하며 OECD 22∼33위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이는 우리나라로 들어온 외국인직접투자는 정체되었던 반면 해외로 빠져나간 투자는 증가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2005년∼2020년 상반기를 2005년~2010년, 2011년~2015년, 2016년~2020년 상반기 3개 기간으로 나눠 보면 각 기간 FDI비율은 0.6%→0.5%→0.6%로 제자리 수준이었으며 OECD와 G5 평균을 크게 밑돌았다.
반면 ODI비율은 1.6%→1.8%→2.2%로 증가하며 OECD와 G5 평균을 추월했다. 두 비율의 차이(FDI비율-ODI비율)인 순FDI비율은 –1.0%→-1.4%→-1.6%로 악화추세를 보였다.
FDI비율이 오랫동안 OECD 하위권에서 정체돼 있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나라의 투자매력도가 떨어진다는 의미라는 게 한경연의 설명이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세계 10위권인 우리나라의 경제규모와 ODI비율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FDI비율이 낮다”고 지적하며 “규제개혁과 기업 세부담 완화 등으로 외국기업을 적극 유치해 FDI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