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레놀을 비롯해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진통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오는 7월 품귀 현상에 대비하기 위해 정부가 생산확대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사진은 서울의 한 약국에서 판매 중인 타이레놀 /사진=뉴스1
타이레놀을 비롯해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진통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오는 7월 품귀 현상에 대비하기 위해 정부가 생산확대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사진은 서울의 한 약국에서 판매 중인 타이레놀 /사진=뉴스1
타이레놀을 비롯해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진통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오는 7월 품귀 현상에 대비하기 위해 정부가 생산확대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예방접종 증가로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진통제의 수요가 급증했다"며 "식약처에서 아세트아미노펜 제제의 수급 현황을 점검하고 원활한 공급계획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국내 재고량을 파악한 결과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제제의 국내 재고량은 2일 0시 기준 약 2억정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6월까지 예정된 예방접종 인원 800만명 1인당 10정씩 복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예상 필요 수량인 8000만정을 넘어선다"며 "이는 현재 제조업체 재고량으로 충당이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진통제는 국내에서 70여종이 유통되고 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경증 이상반응에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식약처는 약사회, 제약협회 등과 함께 제조업체의 수급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조업체의 생산량 확대를 독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