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IPTV 3사가 지급하는 콘텐츠 사용료가 수신료 매출 대비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국내 IPTV 3사가 지급하는 콘텐츠 사용료가 수신료 매출 대비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국내 IPTV 3사가 지급하는 콘텐츠 사용료가 수신료 매출 대비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일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된 '유료방송시장 콘텐츠 거래 합리화 방안' 정책 세미나에선 홍익표 의원(더불어민주당·중구성동구갑)과 한지만 강원대학교 명예교수, 김용희 오픈루트 전문위원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해 합리적인 콘텐츠 거래구조 마련을 위한 의견을 나눴다. 
/사진제공=홍익표 의원실
/사진제공=홍익표 의원실
김용희 전문위원은 이날 해외 20개 국가 44개 플랫폼 사업자와 16개 국가 41개 콘텐츠 사업자들의 사업 환경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국내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사업수익성(EBITDA 마진률)은 지난해 기준 9.00%을 기록했다. 이는 비슷한 GDP 규모의 나라들과 비교했을 때 최하위 수준이다. 반면 국내 IPTV 사업자들의 EBITDA 마진률은 20.19%로 PP보다 두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제공=홍익표 의원실
/사진제공=홍익표 의원실
국내 IPTV 사업자가 PP에 지급한 콘텐츠 사용료 대가도 낮았다. 국내 IPTV 3사의 콘텐츠 사용료 지급비율은 수신료 매출 대비 33%로, ▲미국(62.20%) ▲영국(83.6%),▲뉴질랜드(58.78%) ▲인도네시아(50.20%)와 비교해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김용희 전문위원은 "불합리한 콘텐츠 가치 책정으로 인한 콘텐츠 사업자들의 투자 회수율 저하 문제는 콘텐츠 품질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국내 유료방송 콘텐츠 수익배분 비율을 약 10~20% 상향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유료방송시장 규제의 틀을 자율거래 원칙을 적용하고 사회적 개입 근거를 확보할 수 있는 규제된 자율 거래 시스템’으로 전환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