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대책이 지속하는 가운데 서울 용산역에서 시민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는 모습./사진=김휘선 머니투데이 기자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대책이 지속하는 가운데 서울 용산역에서 시민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는 모습./사진=김휘선 머니투데이 기자

방역당국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크게 유행 중인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추석 명절 여파로 비수도권으로 퍼지는 '풍선효과'가 나타날 것을 우려하며 대책 마련에 나섰다. 비수도권에도 수도권과 같이 상급종합병원 등에 행정명령을 통해 중환자·중등증 병상을 추가 확보해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10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4차 유행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라며 "예방접종률이 아무리 높아진다고 해도 방역상황이 안정되지 못하면 우리 모두가 간절히 바라는 일상회복은 멀어질 수밖에 없다. 추석 연휴를 맞아 느슨해진 긴장감에 방역의 빈틈이 생긴다면 상황은 더 악화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도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추석을 전후해 풍선효과 때문에 비수도권 확산세가 나타낼지'에 대한 질문에 "더 전파력이 높은 델타 변이가 유행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수도권에서 다른 지역으로의 풍선효과는 매우 우려되는 상황이 틀림없다"고 밝혔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892명으로, 국내 지역발생 확진자는 1857명이다. 수도권 지역발생은 1386명이다. 전국 대비 74.6%를 차지한 것이다. 수도권 1주 일평균 확진자는 1218.3명으로 코로나19 유입 이후 처음으로 1200명대로 올라섰다.

앞서 7월 중순 4차 대유행 초기에는 수도권 확진자가 80% 이상을 차지할 만큼 수도권에 확진자가 다수를 차지했지만 여름 휴가 시즌을 지나면서 확산이 전국으로 번져나갔다. 이 때문에 다수의 이동이 발생하는 추석 연휴를 통해 또 한번 전국 확산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다.

정부는 이에 따라 비수도권에서도 행정명령을 통한 추가 병상을 확보해 확산을 대비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8월13일 수도권 상급종합병원 등에도 병상 확충 행정명령을 내린 바 있다.


이기일 중대본 제1통제관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추석연휴기간 동안 수도권 인구의 이동량 증가와 전파 가능성을 고려할 때 비수도권의 환자 증가에도 미리미리 대응할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비수도권 지역의 24개 상급종합병원과 국립대 병원에 허가 병상 대비 중환자 병상을 1.5%로 확대한다. 이어 700병상 이상 7개 종합병원에도 신규 중환자 병상을 확보하도록 했다. 300~7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에는 허가병상 5% 이상의 중등증 환자 전담 병상을 확보하게 했다. 위중증 환자 치료병상은 146병상, 중등증 환자 병상은 1017개가 늘어난다.

이외에도 현재 수도권·강원지역에서 실시 중인 재택치료자에 대해서는 재택치료 전담팀을 운영해 관리할 방침이다. 재택치료자 대상의 특별생활치료센터를 오는 13일 개소한다. 정부는 재택치료를 더 확대할 계획이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