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은 중국노선의 공격적인 확대 등으로 올 상반기 매출 2057억원을 달성하며 제주항공의 반기기준 역대 최고실적을 올렸다.
제주항공은 중국노선의 공격적인 확대 등으로 올 상반기 매출 2057억원을 달성하며 제주항공의 반기기준 역대 최고실적을 올렸다.
저비용항공사들이 올 상반기 흑자를 기록하는 등 고공비행을 하고 있다.

엔저와 경기침체 등의 국내외 악재 속에서 중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선 운항 확대 및 새 항공기 도입에 따른 매출 증대에 힘입어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된다.

제주항공은 올 상반기 매출 2057억원을 달성하며 제주항공의 반기 기준 역대 최고실적을 올렸다. 전년 동기 대비 32.0% 증가했으며 국내 저비용항공사 가운데 처음으로 반기 기준 2000억원대를 돌파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40%의 신장률을 기록한 62억4000만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 같은 실적은 제주 및 인천발 중국노선의 공격적인 확대 등이 주효한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항공은 중국노선에서 지난해 상반기보다 52% 늘어난 78만7000명을 태웠다.

지난해부터 올 상반기까지 총 5대의 항공기를 추가 도입한 점도 역대 최고실적 달성에 큰 몫을 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원-엔 환율 하락 등의 외부변수가 있기는 했지만 지난해 집중적으로 이뤄진 투자 결과 중국노선 확대 등 위험을 분산할 수 있는 다양한 준비를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스타항공은 다수의 중국 부정기편 운항과 올해 항공기 추가 도입으로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
이스타항공은 다수의 중국 부정기편 운항과 올해 항공기 추가 도입으로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
이스타항공은 올해 상반기 매출 1169억원, 영업이익 4억2000만원을 달성하며 취항 이후 첫 상반기 실적이 흑자를 달성했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매출 832억원, 141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으나 올해 영업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돼 흑자전환에 이르렀다.

이는 다수의 중국 부정기편 운항과 올해 항공기 추가 도입에 따른 매출증대로 인해 실적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스타항공 관계자는 “상반기 흑자전환에 이어 7~8월 성수기 매출 증대와 4분기 영업실적을 잘 이어간다면 올해는 흑자전환에 이르는 한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비용항공사, 중국 하늘길 '고공비행'
에어부산도 상반기 매출이 1300억원을 기록하며 가속이 붙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매출은 1057억원이고 영업손실은 5억원이다.

현재 에어부산이 보유한 중국 정기노선은 부산-시안과 부산-칭다오 2개 노선이다. 특히 국제선 9개 노선 중 이 두 노선이 가장 높은 실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에어부산의 성장을 도운 것으로 관측된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중국 시안과 칭다오 노선은 모두 7월 현재 90% 탑승률을 기록하고 있다”며 “중국 인바운드 승객 비중도 높아 부산 관광 활성화에 일조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