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올해 3월부터 이어진 포스코 수사를 8개월만에 마무리지었다. 이번 수사로 정준양 전 포스코그룹 회장(67)을 비롯한 포스코 경영진의 정치권 유착 등을 밝혀냈지만 피의자가 모두 불구속되는 등 빈수레만 요란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특히 이상득(80) 전 새누리당 의원과 정 전회장의 커넥션을 입증한 데에만 만족하고 포항 지역 내 다른 의원에 대한 수사를 마무리하지 않은 점도 아쉬운 대목으로 꼽힌다.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2부(부장 조상준)는 11일 부실기업 경영권을 인수해 포스코그룹에 천문학적 손해를 입힌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배임 등)로 정 전 회장을 불구속 기소한다고 밝혔다. 검찰은 또 포스코그룹 전 현직 임원 17명과 포스코 협력업체 관계자 13명을 비롯해 이 전 의원과 산업은행 전 부행장 송모(59)씨 등 32명을 재판에 넘겼다. 구속된 사람은 32명 중 포스코그룹 비자금 조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한 17명이다.
정 전 회장 등은 부실기업 인수를 은밀하게 추진해 회사에 천문학적 피해를 입히는가 하면 유력 정치인에게 부당한 청탁을 하며 거액을 건네기도 했다. 정 전 회장은 이상득 전 의원의 지역사무소장 박모 씨에게 협력업체 티엠테크의 운영권을 줘 12억원 상당의 이득을 얻게 하기도 했다.
또 2010년 부실기업인 성진지오텍의 지분을 고가 매입해 포스코에 약 1592억원의 손해를 입히고, 협력업체 코스틸의 박재천 회장에게서 수년에 걸쳐 4억7000만원을 받아 챙긴 혐의도 드러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