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로 경기도 부천시 일반구 3곳이 폐지된다.
부천시의회는 10일 제209회 본회의를 열고 '부천시 구 및 동의 명칭과 구역에 관한 조례 일부 개정안'을 의결했다.
부천시에 따르면 구가 시와 동 주민자치센터에 끼어 역할이 애매하고 직원들의 역량이 발휘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어왔다는 판단이다.
구청장을 기초자치단체 시장이 임명하는 일반구의 폐지는 전국 최초이며 이번에 폐지되는 구청은 원미·소사·오정구 3곳이다.
시는 시의회의 의결에 따라 내년 6월말까지 3개 일반구를 없애고 7월1일 10곳의 행정복지센터(일명 책임동 또는 광역동)를 출범한다. 행정복지센터 10곳은 인구 7만~10만명을 기준으로 기존 2~5개 동 가운데 중심이 되는 동에 설치된다. 시의 안에 따르면 인구가 밀집한 원미구에 5곳, 소사구 3곳, 오정구 2곳에 각각 설치될 예정이다.
사회복지·청소·교통·안전·도시관리 등 구의 역할이 행정복지센터로 이관됨에 따라 3개 구의 공무원들도 10개 행정복지센터로 분산 재배치된다.
원미·소사·오정구는 구청장을 주민이 선출하는 자치구가 아니라, 시장이 임명하는 이른바 '일반구'로 선거에도 지장이 없을 예정이다. 반면 대부분, 시와 동 사이에서 불필요하게 행정력을 낭비하는, 고비용 구조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김만수 부천시장(새정치민주연합)은 "구가 시와 동 주민자치센터에 끼여 역할이 애매하고 그러다 보니 직원들의 역량이 발휘되지 않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구청을 폐지하게 됐다"면서 "주민에 더 가까이서 청소나 교통, 복지 업무를 신속하게 해결하고 행정효율도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부천시에 이어, 전북 전주시와 경북 포항시 등도 비슷한 행정 개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
김만수 부천시장. /사진=뉴스1D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