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36년 청년 발명가 최윤선(崔胤善) 씨가 만든 ‘조선어 철자기’는 한국어의 첫소리와 끝소리를 표기하기 위한 2개의 자음판과 가운뎃소리를 표기하기 위한 1개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판을 돌려가며 다양한 글자를 만듦으로써 한글을 익힐 수 있는 것이다.
한 가지 안타까운 것은 ‘조선어 철자기’를 만든 최윤선 씨에 대한 정보가 남아 있지 않아서 최윤선 씨가 어떤 사람인지, 철자기의 제작 배경, 과정은 어떠한지 등을 알수 없는 것이다.
‘조선어 철자기’는 1936년 당시 그 실용성과 독창성을 인정받아 실용신안 194903호로 등록되기도 하였으며, ‘동아일보(1936.4.17.)’와 ‘매일신보(1936.4.17.)’에 관련 내용이 보도되기도 하였다. 기사에 따르면 당시 ‘혜화동(惠化洞) 39번지에 살던 최윤선이 10년이라는 오랜 세월을 들여’ 철자기를 만들었으며, ‘이를 큰 모양으로 만들어 학교에서 교수하는 데 쓰면 매우 효과적일 것이라 조선어 학회에서 추천하였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
<이미지제공=국립한글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