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을 둘러싼 판도라의 상자가 열릴까. 검찰이 롯데그룹에 대한 수사를 전방위로 확대하면서 신 회장 최측근으로 꼽히는 ‘1세대 롯데맨’들의 입에 이목이 쏠린다. 이들은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이 그룹을 일굴 당시 최측근으로 분류되며 그림자 역할을 수행하다 신 회장 시대가 본격 개막하면서 주요 요직을 꿰찬 인물들. 이들은 신격호의 남자에서 신동빈의 남자로, 검찰이 주목하는 롯데의 심장 ‘정책본부’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했다는 공통점을 지녔다.
![]() |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소진세 롯데그룹 대외협력단장, 황각규 롯데정책본부 사장, 이인원 롯데그룹 부회장(왼쪽부터). /사진=뉴스1 이광호, 고성준, 송원영 기자, 뉴시스 장세영 기자 |
◆ 롯데의 심장 주무르던 ‘3인방’
검찰과 재계에 따르면 이번 롯데그룹과 관련된 횡령과 배임, 비자금 의혹 정점엔 그룹의 경영 컨트롤타워인 정책본부가 있다. 2004년 신 회장이 만든 뒤 롯데의 70여개 계열사의 재무투자 등 핵심 경영활동을 보고받고 조율하는 등 그룹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는 곳으로 알려졌다.
그 중요성만큼이나 신 회장의 관심도 남다르다. 정책본부를 주무르는 핵심자리에 신 회장의 측근들이 포진한 것도 이 때문이다. 검찰은 이 중에서도 정책본부장인 이인원 부회장과 운영실장 황각규 사장, 커뮤니케이션실장 겸 대외협력단장 소진세 사장 등 3명의 역할에 주목한다.
재계 한 관계자는 “롯데의 심장격인 정책본부가 신 회장의 디딤판이었던 만큼 롯데경영과 관련된 모든 사항에 이들 3인방이 모르는 일이 없다고 보면 된다”며 “그룹 안팎에서는 이들을 신 회장 가신그룹으로 본다”고 귀띔했다.
잘 알려진 대로 이들이 걸어온 길은 곧 롯데의 역사다. 이들은 신 총괄회장이 롯데를 키울 당시부터 그룹을 성장시키는 데 핵심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당연히 내부사정에도 밝다.
가장 주목받는 사람은 그룹 내 2인자로 통하는 이인원 부회장. 그는 지난 40여년간 신 총괄회장을 보필하며 남다른 신임을 받아온 인물이다. 1973년 롯데호텔에 입사해 롯데쇼핑으로 자리를 옮긴 후 10년 만에 롯데백화점 대표로 초고속 승진하며 주목받았다. 2011년에는 롯데 전문경영인으로는 처음으로 부회장에 올랐다.
이 부회장은 신 총괄회장의 눈과 입 역할을 하며 신 회장이 2011년 회장이 된 후 지속적으로 진행된 세대교체 인사에도 살아남았다. 하지만 지난해 롯데그룹 형제간 경영권 분쟁에서는 신 총괄회장에게 등을 돌리고 신 회장 편으로 돌아섰다.
이후 그룹 내 영향력은 더 강해졌다. 경중을 가릴 것 없이 그룹에서 발생한 모든 일은 이 부회장을 거쳐 신 회장에게 보고될 정도다. 따라서 검찰은 비자금 조성 배경에 신 회장의 입김이 작용했다면 이 부회장이 관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황각규 사장은 그룹 내 ‘왕실장’, ‘신 회장 비서실장’으로 불리며 실세로 통한다. 일본 롯데에서 근무하던 신 회장이 1990년 한국으로 건너와 호남석유화학(현 롯데케미칼)에서 경영자 수업을 받을 때 부장으로 일하며 신 회장과 처음 인연을 맺었고, 1995년부터 정책본부 전신인 기획조정실에 몸담았다.
그는 롯데그룹의 해외 진출 사업과 M&A(인수합병)를 주도했다. 신 회장과 함께 2007년 대한화재, 2009년 두산주류(롯데주류) 등 30여건의 M&A를 진두지휘하며 롯데의 영토 확장에 기여했다. 특히 지난해 ‘왕자의 난’ 이후 신 회장이 발표한 지배구조 쇄신 방안도 그가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가 이끄는 운영실 역시 그룹 계열사를 총괄하는 핵심 중 핵심으로 손꼽힌다. 검찰이 그를 주목하는 이유다.
대외협력단을 이끄는 소진세 사장은 2014년 2월 롯데슈퍼 사장을 끝으로 경영에서 물러났으나 그해 8월 대외협력단장으로 복귀했다. 그는 그룹 내 이미지 개선, 홍보, 대관 업무 강화 등을 맡고 있다. 제2롯데월드의 각종 안전사고, 롯데홈쇼핑 비리 문제 등으로 그룹이 위기에 처하자 신 회장이 직접 그룹 내 마당발로 불리는 그에게 중책을 맡긴 것으로 전해진다. 위기 극복의 적임자로 신 회장의 ‘간택’을 받은 만큼 소 사장 역시 검찰의 칼끝을 피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
/사진=뉴시스 임태훈 기자 |
◆ 그들의 입에 쏠린 눈…닫힌 입 열릴까
재계는 이들의 ‘입’에 주목한다. 검찰이 롯데와 관련된 각종 비리를 파헤치려면 결국 이 3인방의 입을 열어야 한다는 관측이다. 이들의 협조가 곧 수사 성과를 결정지을 동력이자 롯데의 향방을 가를 변수인 셈이다.
검찰 관계자는 “주력사와 비상장 계열사 간 허위거래를 통한 매출 부풀리기, 일감 몰아주기 등에 이번 수사의 초점을 맞춘 만큼 그룹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 정책본부, 특히 경영권 분쟁 이후 신 회장 체제에 힘을 실은 이들 3인에 대한 조사가 꼭 필요하다”고 전했다.
따라서 검찰의 압수물 분석과 실무자 소환이 마무리되면 바로 다음 타깃이 이들 3인방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재계 한 관계자는 “롯데의 역사를 함께 썼던 이들만큼 롯데를 잘 아는 인물은 없을 것”이라며 “이들의 입에 모든 게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말했다.
창사이래 최대 위기를 맞은 롯데그룹. 연이은 악재가 터지면서 신 회장의 셈은 더욱 복잡해졌다. 동시에 ‘신 회장의 남자들’의 수난도 끊이지 않는 모양새. 그들의 입을 통해 롯데 비리 실체가 담긴 판도라의 상자가 열릴지 재계 안팎의 시선이 그들을 향하고 있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441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