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수남 검찰총장. /사진=뉴시스 DB |
박영수(65·사법연수원 10기) 특별검사팀으로부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수사기록을 넘겨받은 검찰이 특별수사본부 구성을 통해 본격적인 수사를 준비 중이다.
특검 직전까지 관련 수사를 진행했던 형사8부에 특수1부, 첨단부사1·2부를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져 상당한 수사의지를 보인다는 분석이다.
4일 검찰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은 최근 형사8부, 특수부, 첨단부사1·2부를 중심을 특수본을 구성하는 방안을 대검찰청에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고를 받은 대검은 다음주 중 특수본 구성과 구체적인 수사계획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형사8부는 지난해 최순실 관련 수사를 처음 맡았던 부서다. 당시 검찰은 지난해 10월5일 최씨 관련 고발 사건을 형사8부에 배당하면서 수사의지가 없는 게 아니냐는 각계 비판에 직면했다.
이후 검찰은 같은달 27일 특수부를 포함해 40여명 규모의 특수본을 꾸려 본격적인 수사에 나섰다. 검찰은 최씨를 비롯해 안종범(56) 청와대 전 정책조정수석 등을 구속기소하는 성과를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검찰은 박 대통령, 우병우 전 민정수석 등 권력의 핵심은 파고들지 못한 채 특검에 수사를 넘겨 초기 미온적 대응으로 수사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후 검찰은 특검으로부터 다시 수사 관련 자료를 넘겨받게 되자 수사에 상당한 의욕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해 마무리 짓지 못한 수사를 스스로 매듭 지을 수 있는 기회로 판단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검찰은 특검팀과 달리 수사대상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수사의 대미를 장식하겠다는 의지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정치권의 대선일정 등이 수사에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박 대통령 탄핵심판이 기각될 경우 검찰에 인사권 등을 행사하며 검찰 수사가 급격히 움츠러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
이 같은 이유로 박 대통령의 생환 여부는 검찰 입장에서 가장 곤란한 시나리오라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