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동연 사람중심 투자.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가 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안경을 고쳐 쓰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가 7일 사람 중심 투자 등을 정책 방향의 우선 순위에 둔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 모두 발언을 통해 "사람이 중심이 돼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경제를 중점 정책 목표로 제시한다"며 "이 (목표)는 일자리 확대와 양극화 해소를 바탕으로 성장 잠재력의 확충이 이뤄질 때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를 위한 실천 과제로 △사람 중심 투자 △공정 경제 △혁신 성장 등 3가지를 제시하며 "경제 정책을 고용 창출에 중심을 둬 재설계하고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을 통해 인적 자원을 고도화해 노동 생산성을 향상시키겠다"고 역설했다.
이어 "노력과 헌신, 성과에 따라 사람과 기업이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경제사회 전반의 인센티브 체계를 점검하겠다"며 "건전한 산업 생태계가 활발히 조성되도록 시장 질서를 확립하고 기업 지배 구조를 개선하는 한편 비정규직의 처우 개선 등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도 해소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을 성장 동력으로 만들어 나가기 위해 연구개발(R&D), 기술 혁신을 통해 핵심 기술을 확보하겠다"며 "창업과 창직이 왕성하게 일어나고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 기업의 경쟁력이 더욱 강화되도록 불합리한 규제와 산업 지원 제도도 개선하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을 성장 동력으로 만들어 나가기 위해 연구개발(R&D), 기술 혁신을 통해 핵심 기술을 확보하겠다"며 "창업과 창직이 왕성하게 일어나고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 기업의 경쟁력이 더욱 강화되도록 불합리한 규제와 산업 지원 제도도 개선하겠다"고 공언했다.
이어 "이 같은 3가지 정책 방향은 거시 경제의 안정과 사회적 자본의 확충을 기반으로 할 때 가능하다"며 "가계 부채, 부동산, 구조 조정, 보호무역주의 등 대내외 리스크의 선제적인 관리를 통해 거시 경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한편 정책의 투명성 제고와 시민 참여 확대 등으로 사회적 자본을 확충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