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산대교. /자료사진=뉴시스 |
15일 서울 마포구 성산대교 교각이 일부 파손돼 보수작업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쯤 마포구 망원동 성산대교 북단 교각 6번 하단 부분에서 구조물을 감싸고 있던 1~2m 크기 콘크리트가 떨어졌다. 서울시는 보수와 점검에 착수했지만 외관상의 문제로 보고 교통 통제는 하지 않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성산대교 교각을 보면 곡선을 살려 미관을 만들어 내기 위해 구조나 안전, 힘을 받는 부재와 관계없이 콘크리트를 덧댄 부분이 있다"며 "37년 전에 공사를 해서 오래 쓰다 보니 노후해 조금씩 금이 갔고 이번에 탈락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담장에 붙은 콘크리트도 오래 되면 떨어진다. 그런 식으로 겉에 있는 부분이 똑 떨어졌다고 보면 된다"며 "한강 다리가 워낙 중요하다보니 민감하게 보는 것 같은데 안전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교통과는 전혀 상관없는 비구조적인 문제"라고 강조했다.
성산대교는 건설된 지 37년이 돼 한창 보수 및 보강 공사가 진행되는 상황이다. 성산대교는 교통량이 크게 증가하며 교량이 노후화되고 교량 손상 역시 지속적으로 발생해 2012년 정밀안전진단결과 C등급으로 보수 및 보강이 시급하다는 판정을 받은 바 있다.
서울시는 현재 성산대교 교량 하부 교각부 콘크리트 균열 부분을 보수하는 한편 노후한 교량 상부 슬래브(Slab) 콘크리트를 전면 교체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성산대교의 미관을 유지하고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반달형 아치 모양의 난간은 안쪽에 마감재를 시공한 제품으로 교체된다.
성산대교 북단의 램프 2곳, 접속교 공사는 노후화가 심각해 다음해 5월에야 완료된다. 남단 램프 4곳, 접속교, 접속육교 공사는 오는 9월 착공해 2019년 12월 완료할 예정이다. 본교 공사는 월드컵대교가 개통되는 2020년 이후 실시될 방침이다.
성산대교는 1980년 건설된 길이 1455m, 폭 27m의 내부순환도로(마포구 망원동)와 서부간선도로(영등포구 양평동)를 잇는 대교다.
2등교(DB-18)로 설계돼 총 중량 32.4톤까지의 차량만 통행이 가능하지만 이번 공사가 마무리되면 1등교가 돼 43.2톤 차량까지 통행이 가능하다.
성산대교는 일일 교통량 17만대 이상으로 일일 교통량이 21만대 이상인 한남대교 다음으로 교통량이 많으며 차로당 교통량은 2만9000여대로 한강다리 가운데 가장 많다.
성산대교는 일일 교통량 17만대 이상으로 일일 교통량이 21만대 이상인 한남대교 다음으로 교통량이 많으며 차로당 교통량은 2만9000여대로 한강다리 가운데 가장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