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분양될 신반포센트럴자이. /사진=GS건설
다음달 분양될 신반포센트럴자이. /사진=GS건설
연내 서울에서 재개발·재건축 물량 1만2000여 가구가 일반에 공급된다. 서울 분양물량의 대부분은 재개발·재건축 일반분양이지만 재건축 단지는 내년부터 초과이익환수제가 시행되고 재개발은 9월 중 임대주택 의무비율이 강화될 예정이다.
게다가 9월 중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개정법안 발의로 재건축 조합원 지위양도가 제한되고 투기과열지구에선 재개발 및 도시환경정비사업의 조합원 분양권 전매도 금지될 예정이어서 올해 서울 분양물량에 관심이 쏠린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에서 재개발·재건축을 통해 연말까지 29곳 1만2608가구가 일반분양 될 예정이다.


지역별로는 9월에 서초구에서 ▲신반포센트럴자이(142가구) ▲서대문구 래미안DMC 루센티아(517가구) ▲10월 영등포구 신길9구역 힐스테이트(691가구) 등이다.

서울 아파트 분양물량의 대부분은 재개발·재건축 일반분양이다. 실제 이달까지 분양된 1만547가구 가운데 재개발·재건축을 통한 일반분양은 8321가구로 전체 물량의 78%를 차지했다.

하지만 연내 관리처분계획 인가 신청을 못한 재건축 단지는 내년부터 초과이익환수제가 적용된다. 초과이익환수제는 재건축 추진위 승인 시점을 기준으로 준공 때까지 조합원 1인당 평균 이익이 3000만원을 넘을 경우 초과 금액의 최대 50%를 환수하는 제도다.


재개발 단지도 임대주택 공급비율이 9월 중 정비사업 임대주택 건설 비율 고시 개정으로 현행 0~15%에서 10~15%로 늘어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초과이익환수제 등으로 서울 분양 대부분을 차지하는 재개발·재건축 공급 물량이 내년부터 더 줄어들 것”이라며 “여기에 재건축은 조합원 지위양도 금지, 재개발 조합원도 관리처분계획인가 후부터 소유권이전등기까지 분양권을 팔 수 없어 연내 일반분양을 노리는 수요도 많을 것”이라고 분석했다.